알뜰폰 업체 대부분이 단말기 수급과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전국에 걸쳐 넓은 유통망을 보유한 홈플러스가 시장에 진출해 업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21일 연말부터 KT의 통신망을 빌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홈플러스와 KT는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이승한 홈플러스 회장과 이석채 KT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알뜰폰 사업 협정을 맺고 알뜰폰 활성화와 유통-통신 결합 서비스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홈플러스는 전국 130여개 대형 매장을 통해 저렴한 생활 밀착형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적어도 기존 이통사에 비해 30% 가량 요금을 내릴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통신비를 절반 가량 줄일 수 있어 ‘반값 이동전화’ 출시도 가능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또 롱텀에볼루션(LTE) 알뜰폰도 내놓을 전망이다. KT가 다음달부터 알뜰폰 업체들에 LTE 망을 개방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현재 신규 스마트폰이 대부분 LTE용으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홈플러스가 LTE 서비스도 제공한다면 최신 인기 단말기를 보급할 수 있다.
KT는 홈플러스가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와 고객 할인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