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잡셰어링으로 깎인 임금의 절반을 보전해줄 방침이다. 윤증현(사진)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잡셰어링을 위해 임금 10%를 깎는 기업의 직원들에게 5%를 소득공제로 환급해주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 임금삭감으로 불만을 가질 수 있는 직원들에게도 혜택을 주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잡셰어링에 동참한 기업들에는 고용유지 및 청년인턴 등을 위한 지원금을 지급하고 세금혜택을 주는 반면 근로자들에게는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한다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잡셰어링 관련 세제지원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근로자는 임금삭감분의 50%를 과세소득에서 추가로 공제 받을 수 있게 된다. 윤 장관은 또 “국회에 계류된 상속ㆍ증여세 인하 법안도 통과돼야 한다”며 “당정 및 여야가 합의했는데도 국회 본회의가 열리지 않고 파행을 겪어 각종 정책이 멈춰 있는 것이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그는 “불황의 파도가 밀려오는 이때 국회에서 정쟁을 벌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적절한 전기 값을 받아야 소비자들이 아껴쓰게 된다”면서 “전기ㆍ가스 가격도 시장주의 원칙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윤 장관은 외환시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말을 아꼈다. 다만 그는 “미국을 비롯해 다양한 국가와 통화스와프 확대 및 기한연장 등을 추진, 외화유동성 확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0조원 이상의 슈퍼 추경에 대한 질문에도 “아직 보고 받지 못했다”며 즉답을 피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