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모는 KS규격 항목 총 26개 가운데 소비자 불만 사례를 참고해 카메라 화소수, 영상 데이터 저장 주기, 번호판 인식 성능, 정전기 보호 등 16개 항목을 추려 점검했다.
15개 항목을 충족한 제품은 팅크웨어의 ‘아이나비 블랙클레어’, 피타소프트의 ‘블랙뷰 DR380G-HD’, 현대모비스의 ‘HDR-1700’ 등 3개였다.
큐알온텍의 ‘루카스 PRO LK-5900HD’, 아이트로닉스의 ‘아이패스 블랙 ITB-100HD’, 현대엠엔소프트의 ‘소프트맨 R700’은 14개 항목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치디비정보통신의 ‘프로비아 P200’은 블랙박스 품질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준인 카메라 화소수가 KS규격(90만화소 이상)에 미달했다. 이 제품은 블랙박스로 촬영한 영상을 끊김없이 얼마나 부드럽게 재생하는지 알 수 있는 기준인 초당 영상 프레임 수에서도 20fps(Frame Per Second)에 미달해 부적합했다.
이시웍스의 ‘에셜론 R02’는 주ㆍ야간 환경 모두에서 앞서가는 차량 번호판을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내 전화기 사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전자파 복사방출 시험에서는 11개 제품중 5개 제품이 탈락했다. 탈락 제품은 파인디지털의 ‘파인뷰CR-300HD’, 유닉슨의 ‘레오’, 현대오토콤의 ‘다본다아트 HDA-1000T’, ‘에셜론R02’, ‘소프트맨R700’, ‘루카스PRO LK-5900HD’ 등이었다.
소시모는 “KS규격은 임의 기준이어서 업체가 적합하지 않은 제품을 판매해도 제재할 방법이 없다”면서 “사고시 중요한 자료가 되는 만큼 차량용 블랙박스에 성능 인증 제도를 도입해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