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세계 87개국 증시 시가총액 자료에 따르면 한국 증시의 시가총액은 1일 현재 1조900억 달러다.
신흥시장 중에서는 홍콩(3조2,300억 달러)과 중국(3조1,600억 달러) 증시만 앞에 있을 뿐이다.
또 미국(19조4,920억 달러), 일본(4조1,780억 달러), 영국(3조5,460억 달러) 등 선진시장을 포함하면 87개국 가운데 11번째로 큰 시장이다.
한국 증시는 연초에 찍었던 최고치 1조1,790억 달러에는 다시 닿지 못했으나 다른 시장이 신흥국 금융위기설로 크게 요동친 것만큼 흔들리지는 않았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기자회견으로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정점을 찍었던 6월 중순 이후에 9,650억 달러까지 내려갔다가 지난달 하순 다시 1조500억 달러 선을 회복했다.
이는 브라질 증시가 6월 초 한국 증시에 추월당한 이후 1조 달러 선 아래로 추락해 1일 현재도 9,206억 달러에 머무는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시장 심리를 얼어붙게 한 신흥국 금융위기설의 진원지인 인도 증시 역시 7월 말 한국 증시에 밀린 이후에도 추락을 거듭해 현재 9,050억 달러에 머물고 있다.
러시아 증시 시총은 1,100억 달러에 불과해 한국은 신흥국의 대표격인 브릭스(BRICs) 중에서 중국을 제외한 3개국을 모두 앞지르게 됐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지수도 최근 1개월간 2% 이상 상승해 2% 하락한 MSCI 전세계지수, 3% 이상 떨어진 MSCI 신흥지수보다 성적이 양호했다.
시장 분석가들은 이에 대해 여러 신흥시장이 경제 기초에 대한 의심을 받으면서 흔들리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저평가됐던 한국 증시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