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 노사가 체결한 임단협 내용을 보면 노조는 사측의 인상률 제시안(2%)을 수용했다.
하지만 당초 노조의 요구(4.4%)는 처음부터 무리했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은행 수익성이 바닥인 상황에서 노조 요구 인상률은 희망 사항일 뿐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노조가 양보한 사안이 아니라는 얘기다.
임단협의 하이라이트는 희망퇴직을 하지 않은 것이다. 희망퇴직은 임단협 안건에 오르지는 않았지만 윤 회장의 인력 구조조정 시사발언 탓에 임단협의 번외 핵심이슈였다. 윤 회장은 지난해 11월 취임 회견에서 "절대 인력에서 국민은행이 과다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40대 이상 직원 비중이 높은 점도 걱정"이라며 사실상의 명예퇴직을 암시했다. 노조 관계자는 "내부 출신이 취임 초기부터 인력 조정 문제를 꺼내면 직원들이 동요한다고 회장에게 얘기했고 여기에 회장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전했다.
겉만 놓고 보면 임금인상률 및 희망퇴직 등 주요 사안에서 노사가 한발씩 양보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측이 노조와의 수 싸움에서 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KB는 국내 은행 중 가장 심각한 항아리형 인력구조다. 지난 2013년 말 55.1%였던 책임자급 비중은 지난해 말 55.3%로 늘었다. 반면 신한(55.9%→54.6%), 우리(54.7%→54.0%), 외환(52.5%→50.6%), 농협(51.3%→49.5%), 기업은행(43.9%→43.2%) 등은 전체 직원에서 책임자급이 차지하는 비중도 작은데다 1년간 그 비중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장 선출 때부터 노조가 윤 회장을 측면지원하는 모양새였기 때문에 오해가 생길 수 있다"며 "지점폐쇄가 예정된 상황에서 잉여인력들을 어떻게 배치할지 관심"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