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67%로 집계됐다. 이는 2006년 6월 0.71% 이후 최고치다.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부실비율도 0.76%로 2006년 9월의 0.8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기연 금감원 부원장보는 "부실채권이 가계대출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 부실비율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주택담보 부실채권 잔액은 올해 상반기 27.3%(5,000억원) 증가한 반면 대출잔액은 1.5%(4조6,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집단대출(아파트 분양자가 입주하기 전에 받는 중도금이나 이주비 대출)의 연체율도 1.37%로 지난해 같은 기간 0.85%보다 급등했다.
지난 2ㆍ4분기 은행권 전체 신규 부실채권 규모는 6조9,000억원으로 2010년 3ㆍ4분기 9조7,000억원 이후 가장 많았으며 이 가운데 기업대출이 5조4,000억원이었고 가계대출은 1조3,000억원이었다. 신용카드 부실채권도 2,000억원 발생했다. 부동산 경기부진의 영향으로 기업대출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11.22%로 전 분기 말(9.09%)보다 2.13% 상승했다.
다만 2ㆍ4분기 말 부실채권 비율은 1.49%로 전 분기 말 1.51%보다 하락했다. 은행들이 대손상각과 매각 등을 통해 부실채권을 대거 정리했기 때문이다. 2ㆍ4분기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7조원으로 전 분기의 3조3,000억원보다 2배 이상 늘었다.
금감원은 올해 은행 부실비율의 잠정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0.2%포인트 낮은 1.3%로 잡고 은행들로부터 자체 목표 수준을 제출 받고 있다. 이 부원장보는 "은행들이 이익 규모를 줄이더라도 부실을 많이 털어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