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의 이번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가 양국 간의 오랜 논쟁거리였던 위안화 환율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게 했다며 다음달 시 주석의 미국 방문 때 이 문제가 가장 중대한 사안으로 다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의 연이은 위안화 평가절하가 수출을 늘리고 경기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조치라며 즉각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전부터 위안화가 저평가됐다며 중국을 압박해온 미 의회는 중국의 기습 조치에 강력히 반발하며 이를 정치 쟁점화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이날 척 슈머 민주당 뉴욕주 상원의원은 "최근 수년간 중국은 규칙을 어기고 환율로 장난을 쳐 미국 노동자들을 일자리에서 밀어냈다"며 "그런데도 중국 정부는 이런 방식을 바꾸기는커녕 오히려 두 배나 위안화 가치를 낮추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중국이 인위적인 평가절하를 멈추지 않는다면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해 국제 통화로 고려될 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CNBC의 경제 해설자 짐 크래머도 "중국 정부의 위안화 평가절하 결정은 경제와 정치 전반의 문제를 수출증대로 해결하려는 절박한 의도를 드러낸다"며 "이는 중국 제품을 사라는 명백한 신호로 미국에 무역전쟁을 선포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미국 정부는 일단 중국의 조치를 지켜보겠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미 재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중국의 변화를 계속 주시하고 시장환율제도와 내수중심 경제로의 이행 등 개혁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중국을 압박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잠잠해지고 지고 있는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NYT는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가 미국을 자극해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양국의 갈등이 고조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중국과 미국은 위안화 환율을 둘러싸고 고질적인 갈등을 보여왔다. 특히 대중 무역에서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미국은 위안화 저평가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에 위안화 절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미 의회가 환율조작 국가의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자 중국은 자국을 겨냥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