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국채 금리 오르자…韓국고채도 장기물 위주 상승세 [마켓시그널]
채권2025.07.2012:48:51
국고채 금리가 장기물 위주로 상승세다. 미국발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 금리가 오르면서 우리 국고채 금리도 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8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873%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이달 들어 6.8bp(1bp는 0.01%포인트) 상승했다. 18일에는 저가 매수세로 금리가 하락했지만, 17일에는 2.905%를 기록해 3%에 육박했다. 하반기 들어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상반기 대비 후퇴하면서 국고채 금리가 대체로 오르고 있지만, 장기물의 상승 폭
주식 초고수는 지금
한 달 만에 30% 뛴 LG화학,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증권일반
2025.07.18
11:29:46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의 18일 순매도 상위 종목이 LG화학(051910), POSCO홀딩스(005490)(포스코홀딩스), 두산에너빌리티(03402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동안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LG화학이었다. LG화학 주가는 오전 11시 기준 전 거래일 대비 0.56% 오른 27
이런국장 저런주식
“20% 급등, 진짜?”…'이 종목' 갑자기 외국인이 쓸어 담았다 [이런국장 저런주식]
증권일반
2025.07.19
07:38:00
미국이 중국산 흑연에 반덤핑관세 부과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포스코퓨처엠(003670) 주가가 대규모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뛰어올랐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포스코퓨처엠 주가는 전장 대비 19.59% 오른 15만 6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는 14일부터 4거래일 연속 약세를 이어오다 이날 깜짝 반등했다. 포스코퓨처엠이 보통주 1148만 3000주를 새롭게 찍어내는 1조 원 규모 유상증자(
-
증권일반 2025.05.19 18:11:49공정거래위원회가 금융사들의 ‘국고채 입찰 담합 혐의’로 발생한 국고 손실액 규모를 제대로 산출하지도 않은 채 과징금을 부과하는 제재 방안을 추진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서울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공정위가 국채투자매매업 전문 금융기관(PD) 15곳에 발송한 심사보고서에는 PD사들의 입찰 정보교환 여부에 따라 발생할 국고 손실액 규모를 정확히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위는 심사보고서에 “국고채 낙찰금리가 높아지면 발행가격이 낮아져 PD사(피심인)들이 정부에 납입하는 발행 대금이 줄어 국고에 손실이 발생한다”면서도
-
국내증시 2025.05.19 18:07:02지난해 말 취임 이후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을 10조 원 이상 끌어올린 김우석(사진) 삼성자산운용 대표가 일선 직원들과의 소통에도 적극적으로 임하며 분위기 독려에 나서고 있다. 1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일선 직원들과 정기적으로 점심시간을 갖고 있다. 평소 자주 만나기 힘든 최고경영자(CEO)와 일선 직원들의 접점을 늘려가며 서로 간의 이해와 공감대를 만들어가자는 취지다. 프로그램 이름은 ‘화목한 점심’으로 사내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화목한 점심’은 △본부별 팀장 모임 △승격자 모임 △올
-
국내증시 2025.05.19 18:04:15코스피지수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영향으로 5거래일 만에 장중 2600선 밑으로 떨어지며 약세를 보였다. 이달 들어 순매수 행진을 이어오던 외국인들의 움직임도 꺾였고 금리 상승에 취약한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지수는 한 달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45포인트(0.89%) 내린 2603.42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장중 2593.44까지 하락하면서 5거래일 만에 2600선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삼성전자(005930)(1.76%), SK하이닉스(000660)(2.49%)
-
국내증시 2025.05.19 17:47:24상장지수펀드(ETF) 시장 규모가 200조 원에 이를 정도로 성장했지만 장기 투자 문화는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많다. 대표적 장기 투자 상품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ETF조차 평균 보유 기간이 1년을 넘지 못할 정도로 단기 매매에 치중하는 투자 문화 탓이다. 개인투자자들은 과도하게 공격적인 투자 성향으로 레버리지 등 단기 매매만 집중할 뿐 성과가 보장된 적립식 장기 투자를 외면하면서 높은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따른다. 1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증권사의 데이터센터 분석 결과 개인투자자들이 일반 계좌
-
정책 2025.05.19 17:46:06홍콩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위축됐던 국내 ELS 시장에 다시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최근 글로벌 주요 지수가 하락하면서 ELS 쿠폰 수익률(약정 수익률)이 뛰자 일부 상품은 ‘완판 행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글로벌 증시 변동성으로 인해 통상 만기가 3년인 ELS의 조기 상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실상 단기 수익형 투자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1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ELS 발행 금액은 4조 8100억 원으로 직전 분기(3조 9800억 원) 대비 약 21% 증가했다. 분기 단위로는 홍콩 EL
-
국내증시 2025.05.19 17:44:50도널드 트럼프발(發) 관세전쟁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달러 약세가 장기화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국의 경제정책과 달러에 대한 불신이 확산하는 가운데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환헤지 상장지수펀드(ETF)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ODEX 미국S&P500(H)’는 이달 들어 이날까지 6.26% 올랐다. (H)는 해당 ETF가 환헤지 상품이라는 의미로 환율을 일정 시점으로 고정해 기초 자산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됐다. 이 기간 스탠더드앤드
-
채권 2025.05.19 17:43:59기준금리 하락을 전망하며 미국 장기채에 베팅했던 서학개미(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수익률 반등 시점이 또 다시 뒤로 밀리게 됐다. 서학개미들은 지난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확정 발표해 미국채 금리가 튀어오를 때도 저점 매수 전략을 폈지만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국채값 하방 압력이 높아진 탓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30년 만기 국채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으로 구성된 장기 국채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국내증시 2025.05.19 17:42:49국내 상장지수펀드(ETF)의 하루 평균 거래 금액이 5년 만에 유가증권시장(코스피) 거래액의 5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분산 투자 수단인 ETF가 높은 변동성과 투자 위험이 큰 레버리지·인버스 투자 도구로 전락하면서 국내 증시가 단타 공화국이 됐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4월 ETF의 하루 평균 거래 금액은 4조 1029억 원으로 코스피(7조 9114억 원) 대비 51.9%에 달했다. 3월(38.0%) 대비 14%포인트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코스피 대비 ETF
-
국내증시 2025.05.19 17:42:18퇴직연금 계좌에 5개 펀드로 투자하고 있다고 치자. 적지 않은 가입자들이 특정 기간 5개 펀드 모두가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하길 바랄 것이다. 하지만 이런 포트폴리오는 좋다고 보기 어렵다. 자산 시장 상황이 반대일 경우 모두 저조한 성과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개별 상품 수익률에만 집착해서는 안 된다. 지금 어떤 상품의 수익률이 좋다고 해도 계속 좋을 순 없다. 반대로 지금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고 해서 계속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것이란 보장도 없다. 여러 유형의 펀드 등으로 나눠 투자했다면 개별 상품이 아닌 전체 포트폴리오의
-
증권일반 2025.05.19 17:26:16NH투자증권(005940)이 미국채 투자에 관심 있는 고객들을 위해 ‘잠자고 있는 달러로 해외채권 투자하자! 달러투자 새로고침’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NH투자증권 고객이라면 누구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나무증권·QV를 통해 신청 후 참여할 수 있으며, 오는 7월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벤트는 총 세 가지로 마련됐다. 첫 번째 이벤트에서는 외화채권 첫 거래 고객 대상으로 선착순 100명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1잔을 증정한다. 두 번째는 미국채를 순매수한 고객에게 순매수 수량에 따라
-
증권일반 2025.05.19 17:20:00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가 최근 인수 완료한 ㈜엔펄스(옛 SK엔펄스 CMP사업부)의 수장으로 김양택(사진) 현 SK스페셜티 대표를 선임했다. 반도체 소재 포트폴리오 기업 간 사업 시너지를 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김양택 SK스페셜티 대표집행임원은 엔펄스의 대표집행임원을 겸직하기로 최근 결정됐다. 한앤코는 인수한 기업들에 대해 대표집행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사실상 회사의 대표이사(CEO) 격이다. 지난달 3346억 원에 한앤코가 품에 안은 엔펄스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핵심적으
-
국내증시 2025.05.19 17:02:19미래에셋자산운용이 업계 최초로 연금 인출 고객을 위한 투자 상품인 ‘미래에셋투자하며또박또박연금받는펀드(미래에셋투자하며또박또박연금받는증권자투자신탁)’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미래에셋투자하며또박또박연금받는펀드는 연금 계좌에서 인출해 생활하는 은퇴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당 펀드 출시 배경에 대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도래하며 생활 자금 마련을 위한 안정적인 연금 자산 ‘인출’에 대한 고민이 늘어나고 있다”며 “연금 투자에 대한 관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안정성이 중요한 연금 인출을 위해 해
-
국내증시 2025.05.19 16:55:58<코스피 공시> ▲삼성SDI(006400)=구주주 배정 유상증자에 삼성전자 참여, 228만 4590주 출자. 3198억 원 규모, 주당 1만4000원 출자 후 지분율 19.54%. ▲한미반도체(042700)=자사주 103만 2059주 소각 결정, 발행주식총수의 1.35% 규모. 소각 예정금액 1303억 원 주주가치 제고 목적 ▲금호타이어(073240)=광주공장 내 화재 발생으로 생산 중단, 생산 중단 분야 매출액 8917억 원(전년동기 대비 19.7%) ▲솔루엠(248070)=자사주 118만 9315주 소각 결정, 231억 원 규모
-
국내증시 2025.05.19 16:48:47덴티스(261200)는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첵큐(사진)’가 유럽 의료기기 규정(CE MDR) 인증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고정도 측정기는 치과 임플란트의 골유착 및 고정력 정도를 손쉽게 측정하는 장비다. 타진(打診) 방식의 기존 접촉식 장비는 타진 강도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임플란트 지대주 높이에 따라 측정 위치별로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덴티스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최초이자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공진주파수분석(RFA) 방식의 비접촉식 고정도 측정기 첵큐를 개발했다. 첵큐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검출된 공명
-
종목·투자전략 2025.05.19 16:19:19위츠(459100)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8%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7억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 늘어났다. 회사 측은 이번 분기 실적은 주력 사업인 모바일 무선충전 사업부의 안정적인 성장과 신규 사업 성과 가시화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사업부문에서 갤럭시 S25 시리즈 일반 모델 외 전 모델을 수주 받으며 전년 대비 라인업이 다변화됐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또한 3in1 무선충전기 신제품 출시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