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인세트 시스템
발명자: 러셀 브리딩
개발비: 47만5,000달러
개발기간: 2년
현재 상태: 상용제품
2006년 1월. 웨스트버지니아의 세이고 탄광에서 벌어진 폭발사고로 13명의 광부가 탄광 안에 갇혔다. 구조대는 150m 너비에 3.2km 길이의 갱도를 탐색했지만 폭발 후 41 시간이 지나서야 결국 12구의 시체와 1명의 생존자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당시 구조 대장이던 짐 폰서오프는 이런 사고에서 제일 중요한 과제는 빨리 피구조자들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야 우선 드릴로 환기구멍을 뚫고 구하러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세이고 탄광과 같이 현재 운영 중인 미국의 약 900개 탄광은 얇은 전선을 통해 조난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망가지기 쉽다.
러셀 브리딩은 텔레비전에서 세이고 탄광 사고를 접했다. 그는 이전에 탄광 근처에도 가 본적이 없었지만 잠수함 승무원 출신이라서 좁고 위험한 공간에 갇혔을 때의 기분만큼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그는 조난당한 잠수함의 위치를 찾는 기술로 탄광에 함몰된 광부를 찾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결국 인세트 시스템을 개발해 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다.
광부들은 배터리와 동작인식센서가 내장된 워키토키 크기의 송신기를 허리춤에 부착하게 된다. 동작인식센서는 미사일 유도기술이나 닌텐도 위(Wii)의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3개의 축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식, 즉 3각 측정법으로 조난당한 광부들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파악해 낸다. 한마디로 미사일 유도장치를 광부의 엉덩이에 매달았다고 보면 된다.
갱도의 천정에 볼트로 고정된 무선 송수신기는 광부의 몸에 달린 송신기의 신호를 받아 광부의 위치를 지상의 컴퓨터로 보낸다. 컴퓨터에서는 그 위치를 탄광의 지도와 대조한다.
제일 까다로운 문제는 동작인식센서가 조금만 부정확하게 데이터를 보내도 데이터 처리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정부 하청업체의 내비게이션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이와 유사한 기술을 다루고 있던 브리딩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했다.
그의 인세트 시스템은 피구조자가 원래 위치에서 8시간을 이동했다고 해도 약 3m 오차범위 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아 낼 수 있다. 연방탄광안전보건청의 전자장비 책임자인 데이비드 처든은 인세트 시스템을 통해 조난자 위치 추적의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인세트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기는 강한 외부 충격을 이겨낼 수 있도록 방탄 플라스틱 케이스에 넣어진다. 브리딩은 또 무선 송수신기와 함께 최대 30시간 동안 운용이 가능한 무선 그리드 역시 함께 설치할 예정이다. 만의 하나라도 모든 송수신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안전조치다.
이미 브리딩은 3개의 탄광에서 인세트 시스템의 실험을 성공리에 마쳤으며, 올해 말 이전에 특허 획득을 기대하고 있다. 폰서오프도 이 시스템이 빨리 도입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이것이야 말로 이제까지 나온 기술 중 최고”라며 “브리딩이 이 기술로 억만장자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HOW IT WORKS
동작인식센서를 내장한 송신기가 조난당한 광부의 위치를 찾은 다음, 그 정보를 여러대의 송수신기를 통해 지상으로 전달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