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원하는 진로는 교육계가 26.5%, 의료계 15.9%, 방송·연예·예술·스포츠계 11.4%로 이들 직군의 희망률이 절반을 넘어섰고 사회봉사(9.1%), 미용·요리·디자인계(8.2%), 관료·법조계(8.0%) 등이 뒤를 이었다. 이같은 직업 선택 이유로는 `즐겁게 일할 것 같아서’가 23.2%, `잘할 수 있을것 같아서’가 14.0%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 능력에 높은 비중을 뒀다.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는 13.2%, `안정적이어서’는 9.4%였다. 학생들 가운데 이공계를 희망한 배경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서가 43.2%, 취직이 잘돼서가 38.1%, 돈을 많이 벌 수 있다가 37.5%였다. 학업성적에 따른 계열선택을 보면 상위 10% 이내인 학생의 42.6%가 이공계를 선택, 성적이 좋을수록 이공계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이공계 기피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적성과 흥미를 잘 알기 위한 상담이나 적성검사(25.5%), 다양한 이공계열의 직업정보 제공(20.1%), 산업기술현장 및 과학시설 견학, 체험프로그램(12.8%) 등이 주로 꼽혔다.계열선택 영향을 끼친 사람은 본인이라는 응답이 65.7%, 부모 15.2%, 학교선생님 4.4%였다. 재단 조환익 사무총장은 “앞으로 이공계 기피 대책은 초중고생들의 과학기술 동기유발에 최우선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