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주거지인 서울시 중랑구 중화동 329-38번지 일대가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2030년 2801가구 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규제 완화와 공정 관리를 통해 중화동 329-38번지 일대 모아타운의 사업 기간을 기존 목표 9년에서 7년으로 줄여 2030년 2801가구 준공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곳은 2003년 뉴타운, 2011년 재정비촉진구역 지정으로 재개발 사업이 추진됐다. 2014년 구역 지정 해제로 20년 가까이 주거 환경 정비가 지연되다 2023년 모아타운 사업지로 선정됐다. 이후 지난해 11월 서울시의 관리계획 승인·고시에 이어 이달 17일 서울시 통합 심의를 통해 사업계획이 확정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중화동 모아타운에 대해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세입자 대책 지원 등 규제 완화와 통합심의 및 승인·고시의 신속 처리 등 공정 관리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모아타운 사업지 선정부터 통합 심의까지 평균 4년이 걸리는 기간을 2년 3개월로 단축했다. 앞으로 남은 사업시행인가, 이주, 착공 등의 절차에 대해서도 공정 관리를 진행해 사업 기간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중화동 모아타운은 서울시가 올해 8월 발표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모아주택 사업성 보정계수가 적용된다. 서울시는 중화동 모아타운에 사업성 보정계수 1.5를 적용하면 비례율이 약 10% 증가해 조합원 평균 분담금이 약 7000만 원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 의견 수렴 확대를 위해 서울시청에서 진행하던 ‘서울시-자치구 모아타운 공정촉진회의’를 12월부터 현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규제 완화 등 제도 개선도 지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중화동 모아타운 현장을 방문한 오세훈 시장은 “중화동 모아타운은 서울시 모아타운의 선도 사업지로서 정비사업 동력 확보와 주택 공급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며 “10·15 규제로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이주비 등 대출 규제로 사업 지연 우려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서울시는 정부와 협력하고 대안을 마련해 민간의 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강북 지역 주택 공급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도록 현장 중심의 소통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으로 ‘다시, 강북전성시대’를 열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 11월 25일(화)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화동 모아타운 현장을 방문해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 서울시는 현재 추진 중인 116개 모아타운 내 340개 모아주택 사업구역을 통해 총 12만 호 규모의 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 가운데 3.5만 호는 이미 사업이 본격 추진 중으로, 2031년까지 확보할 정비사업 착공 물량 31만 호 중 중요한 한 축을 맡게 된다.
□ 중랑구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모아타운 116곳 중 16곳(2만 3,845호)이 위치한 서울 전체에서 모아타운이 가장 집중된 지역으로 ‘26 ~ ‘31년 기간중 착공 1만 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중화동 329 모아타운이 선도 사례로 삼아 강북지역 주택공급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 중화동 모아타운은 9만 9,931㎡ 규모로 2003년 뉴타운, 2011년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업 지연 등으로 2014년 지정이 해제되면서 20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후 2023년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 작년 11월 관리계획을 승인·고시하고 올해 11월 사업계획 확정을 위한 통합심의까지 통과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선정~통합심의 2년 3개월 만에 완료 … 규제완화‧공정관리로 2년 단축 목표>
□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coo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