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에 대해 “국익중심의 실용외교의 지평을 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로 확대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 임기 동안 유엔안전보장이사회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이어 G20 의장직도 맡아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된 점을 높게 봤다. 이번 G20정상회의에서 한국은 G20출범 20주년인 2028년 의장국으로 공식화됐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23일(현지시간) 요하네스버그 현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설명했다. 오 차장은 "이 대통령은 이번이 아프리카에서 열린 첫 G20이란 점을 고려해 아프리카와의 연대·협력 의지를 보였다"며 "또 세계무역기구(WTO) 다자무역체제 복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고속도로와 햇빛·바람소득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모범사례도 소개했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2028년 G20 의장직을 대한민국이 수임했다"며 "국격을 제고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날 채택된 'G20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선언' 말미에 내년 미국,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이 의장직을 수임한다는 점이 명시됐다"며 "이로써 이 대통령은 임기 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이어 '국제 협력의 최상위 포럼'으로 불리는 G20 의장직도 맡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2028년은 G20 출범 20주년이 되는 해로, 복합적인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데 우리나라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 미국 보호주의와 결이 다른 다자 무역 강조 및 기후위기 대응 등의 대해 한미 관계가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서 오 차장은 "미국 역시 내년 G20 의장국을 맡기로 돼 있다. G20과 관련한 셰르파 회의(정상회의 실무담당 회의)에도 참석했고, (선언문의) 문안 협상에도 참여했다"고 한미 관계 우려를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미국이 G20에 불참한 것은 꼭 G20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G20은 국제경제 및 기후변화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는 장이다. 앞으로도 이런 주요 현안들은 계속 다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oist1894@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