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야드 드라이버 샷이나 핀에 딱 붙이는 컴퓨터 아이언은 4차원의 벽 같지만 퍼트는 왠지 만만해 보인다. 그래서 대회 중계에 짧은 퍼트 실수라도 나오면 우리는 이렇게 반응한다. ‘에이, 선수가 저걸 빼네’ ‘저건 눈감고도 넣어야지’.
하지만 골린이와 백돌이를 넘어 수준이 조금씩 높아질수록 우리는 느낀다. ‘아, 제일 어려운 게 퍼트구나.’ 아마추어 고수로 유명한 ‘코리안 특급’ 박찬호도 “매 라운드가 도전이다. 퍼트가 늘 마음대로 안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실전에서 좋은 퍼트의 기본은 그린 잘 읽기다. 김규태 프로가 ‘투어 프로처럼 그린 읽기’ 비법을 알려준다. 그는 올해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최고의 발견’ 옥태훈의 퍼트 코치다. 옥태훈 외에 제네시스 챔피언십 우승자 이정환과 김비오, 백석현, 그리고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의 유현조, 노승희, 김수지, 임희정 등도 가르치는 ‘대세 지도자’다. 그린 리딩이 주제였지만 김규태는 퍼트 라인 확인, 올바른 그립, 스트로크 요령에 연습 꿀팁까지 아낌없이 들려줬다.
홀 뒤에서 보는 습관
볼이 홀을 타고 떨어지는 길을 폴 라인(fall line)이라고 한다. 퍼트 성공으로 이어지는 폴 라인은 홀 앞이 아니라 뒤에서 볼 때 잘 보인다. 그린 주변에 언덕이 있으면 퍼트 라인이 실제보다 덜 가팔라 보이기 때문에 홀 뒤로 가 전체 퍼트 라인과 라인의 부근만 집중해서 보면 폴 라인을 파악하기 쉽다.
퍼트의 끝을 살폈으니 이제 중간으로 가서 확인하고 그다음 볼이 있는 맨 앞으로 가는 역순이다. 역방향으로의 상상은 정방향의 시뮬레이션에 확신을 준다. 확신이 생겼다면 믿고 치면 된다.
큰 경사 찾는 법? 홀 주변에 물을 부어라
관련기사
캐디의 도움에 크게 의존해온 골퍼라면 왼쪽이 높은지 오른쪽이 높은지, 오르막인지 내리막인지조차 잘 모르겠다는 이들이 많다. 일단 큰 경사를 찾는 게 1번일 텐데 그린을 4등분하는 습관부터 들여보자. 그린 중앙을 기준으로 네 조각으로 나눈 뒤 핀이 꽂혀있는 4분의 1만 따지는 것이다. 그린 주변의 다른 환경에 괜스레 시선을 뺏겨 헷갈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단속이다. 그린 주변에 다다라 카트에서 내리는 순간부터 네 조각 분할법을 써보자.
그다음은 홀 주변에 물을 잔뜩 붓는 상상을 해보는 거다. 물은 가장 낮은 쪽으로 흐르기 마련이고 그 방향을 6시라고 설정한다. 그러면 반대쪽은 12시이고 3시와 9시 방향도 알 수 있다. 6시를 기준으로 내 볼이 몇 시 방향에 있는지 확인한다. 7~11시는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슬라이스 라인, 5~1시는 왼쪽으로 휘어지는 훅 라인이라고 판단하면 맞다. 산악형 코스가 많은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특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서울경제 골프먼슬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igue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