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서울대 10개 만들기)’이 공개된 뒤 학부모와 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부분은 ‘학부생 대상 계약학과 확대 방안’이다. 이는 별도의 학과 신설이 아니라 기존 학과에 계약 정원제를 도입·확대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개별 대학의 산학 연계 역량이 계약학과 규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각 거점 국립대학은 지역 특화 사업과 관련된 기존 학과 내에 취업이 보장되는 정원을 확보할 계획인 가운데 현재 협약을 맺을 기업 탐색전과 함께 ‘어떤 학과의 몇 학년부터 도입할지’를 놓고 내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교육부가 지난달 발표한 시안에 포함됐던 ‘(지거국) 입학 시 대기업, 지역 앵커 기업 등에 취업이 보장되는 계약학과 확대’ 방안에 따른 밑작업이다. 학생들을 비수도권 대학으로 유인할 수 있는 최대 유인책이 ‘안정된 취업과 진로 보장의 통로 제공’이라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현재 지거국 중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를 운영 중인 곳은 세 곳에 불과하다. 경북대 전자공학부모바일공학전공(30명)과 충남대 해양안보학전공(40명), 전남대 기계IT융합공학과(30명)로 이 중 전남대 학과는 채용 조건형과 재교육형이 융합된 학과다.
이에 따라 각 지거국은 전략 사업과 연계한 계약 정원제 도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시작된 계약 정원제는 대학과 기업이 계약을 체결해 일반 학과 정원의 20%까지 정원 외로 계약 정원을 추가하고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제도다.
예컨대 대학이 그린 바이오 산업에 주력할 경우 기존의 생명공학과와 생물학과를, 미래모빌리티 산업의 경우 기계공학과와 항공우주공학과를 선정하고 일부 학과생에 대해 지역 앵커 기업 채용을 확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과 통폐합을 하거나 새로운 융합학과를 만들지 않고 기존 학과 체계를 유지해도 돼 절차적으로 훨씬 간편하다.
이 같은 방식을 채택한 데는 이미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주요 대학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복 운영 문제’를 피하겠다는 목적도 있다. 실제로 서강대에는 이미 SK하이닉스와 채용 계약을 맺은 시스템반도체공학과가 있지만 2026학년도부터 별도의 반도체공학과가 추가로 만들어졌다. 또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과 연계된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반도체공학과 소속 교수진은 모두 같은 대학 전기전자공학부 전임 교원이기도 하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목표로 하는 계약학과는 통상 1학과-1기업씩 매칭되는 계약학과와 달리 한 학과에 여러 기업이 참여해 채용 협약을 맺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결국 각 계약학과 규모는 대학별 기업 유치 역량에 달린 셈이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거점 국립대 B 총장은 “방산 분야 계약정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면서 “권역 내 모든 방산·항공 기업을 가능한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한 기업당 열 명씩 정원(TO)을 배정할 경우 수십 명에 대한 채용 보장이 가능해 사실상 계약학과 신설과 동일한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각 지역의 기업 정주 여건과 함께 이들 대학이 과연 기업이 원하는 산업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느냐가 사업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a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