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에너지 비용 절감과 규제 완화로 인해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중국이 미국을 앞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황 CEO는 5일(현지시간) 런던에서 열린 파이낸셜타임스(FT) 주최 ‘AI 미래 서밋’에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들은 지나친 냉소주의에 갇혀 있다”며 “우리에게는 더 많은 낙관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각 주(州)에서 추진 중인 AI 관련 새로운 규정들을 언급하며 “이대로라면 50개의 다른 규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에너지 보조금 정책 덕분에 현지 기술기업들이 엔비디아 대체 AI 칩을 훨씬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에선 전기가 사실상 공짜나 다름없다”며 “간쑤·구이저우·네이멍구 등 AI 데이터센터가 몰린 지역 정부들이 자국산 반도체를 사용하는 기업에 전기요금을 최대 50%까지 할인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FT는 황 CEO의 이번 발언이 과거보다 훨씬 강한 경고로 해석된다고 전했다. 그는 그동안 “미국의 최신 AI 모델이 중국과 큰 격차가 없다”며 “미국 정부는 시장을 개방해 세계가 계속 미국 기술에 의존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AI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질 수 있다”는 보다 단호한 표현을 썼다.
이 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칩은 미국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힌 직후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일 공개된 CBS ‘60분’ 인터뷰에서 “중국이 엔비디아와 거래하는 것은 허용하겠지만, 최첨단 기술을 쓰는 것은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며 “최첨단 기술은 미국 외 누구도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젠슨 황의 지속적인 로비에 따라 지난달 30일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엔비디아 첨단 AI 칩 수출 문제를 의제로 다룰 예정이었으나, 참모진의 반대로 막판에 계획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회담 직후 “블랙웰(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시리즈)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황 CEO는 내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블랙웰 칩의 중국 판매를 계속 추진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그는 최근 워싱턴의 한 행사에서 “중국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이자 전 세계 AI 연구진의 절반이 거주하는 곳”이라며 “이 어색한 상황이 오래가지 않길 바란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결책을 찾길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엔비디아와 AMD는 지난 8월 트럼프 행정부와 대중국 판매액의 15%를 정부에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