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의원이 보유한 주택 5채 중 1채가 서울 강남 지역에 몰려 있다는 시민단체 분석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비서실 등으로 이동해 의원직에 있지 않은 '전 국회의원'을 포함한 22대 국회의원 299명 중 유주택자는 234명"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주택은 총 299채로 집계됐다.
경실련에 따르면 전체 주택 가운데 20.4%인 61채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 집중됐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의원 20명, 국민의힘 의원 36명이 강남4구 내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의원이 각 1명, 전직 국회의원 3명도 포함됐다.
이 중 17명은 강남 지역 주택을 임대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은 20명 중 11명, 국민의힘은 36명 중 4명이 임대 신고를 했고, 전직 국회의원 2명도 임대 사실이 파악됐다.
국회의원 중 다주택자는 61명(20.4%)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은 25명(15.2%), 국민의힘은 35명(32.7%)으로, 국민의힘 소속 의원의 다주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국회의원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19억5000만원 수준으로, 국민 평균 부동산 재산(약 4억2000만원)의 4.6배에 달했다.
경실련은 "공직자가 고가·다주택을 보유한 채로 '집값 안정'과 '투기 억제'를 주장하면 진정성과 실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1급 이상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실사용 목적 1주택 외 토지·건물 보유와 매매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정부가 제대로 된 서민 주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6채 주택을 보유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재조명받고 있다. 장 대표는 지난달 "모두 실거주용"이라고 해명했으나 대통령실은 "국민을 우습게 보는 해명"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실 관계자는 "부동산 6채가 실거주용이면 머리 따로, 발 따로 사는 것이냐"며 "야당 대표부터 투기 자산을 정리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야 국민이 그 진정성을 믿어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대표는 현재 거주 중인 서울 구로구 아파트와 지역구인 충남 보령 아파트, 노모가 거주 중인 보령 단독주택, 국회 인근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 별세한 장인에게 상속받은 경기도 안양 아파트 지분의 10분의 1, 경남 진주 아파트 지분 5분의 1도 각각 소유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