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부터 10·15 대책까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 대출 등이 막히자 오피스텔 가격이 상승하고 실거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은 총 937건을 기록했다. 전월(844건) 대비 11.1%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달(857건)과 비교해도 거래가 많아졌다. 올해 하반기 오피스텔 거래는 7월 996건에서 8월과 9월 연속으로 844건에 머물렀다가 지난달 반등했다. 실거래가 신고기한(계약일로부터 30일)을 고려하면 실제 거래량은 1000건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24.57로, 전년 동월 대비 0.91% 상승했다. 올해 들어 가장 큰 월간 상승 폭이며, 역대 최고치였던 2022년 10월(125.85)에 근접한 수준이다. 9개월 연속 상승세이기도 하다. 같은 달 평균 매매가격도 3억418만원으로, 3년 전 고점(3억548만 원)에 거의 도달했다.
개별 단지에서는 신고가도 잇따르고 있다. 양천구 제이월드빌 전용 102㎡는 지난달 13억 원에 거래됐다. 6월 기록한 이전 최고가(11억7000만원)보다 1억3000만원 뛰었다. 강서구 힐스테이트 에코 마곡역 전용 42㎡는 대책 이후 두 건이 연달아 4억5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2019년 기록한 기존 최고가(4억 3300만 원)를 6년 만에 갈아치웠다.
다만 전문가들은 오피스텔이 아파트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이런 추세가 대세가 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오피스텔은 아파트보다 투자 수요가 많아 금리 변화 등 외부 변수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고 거래량도 아파트의 10분의 1 안팎에 머물고 있어, 실수요자가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jna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