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서울 구로구에 소재한 글로벌창업사관학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인공지능(AI) 전환(AX)을 지원하기 위해 ‘AX혁신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AI 확산으로 산업 전반의 업무방식과 경쟁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많은 중소기업은 비용 부담과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AI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 규모에 따라 디지털·AI 활용 수준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중진공은 이러한 시기마다 기업의 든든한 조력자 역할을 해왔다는 분석이다. 실제 PC, 워드프로세스가 보급된 1980년부터 범용소프트웨어 개발, 3만 개사 전사자원관리(ERP) 지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등으로 정보화 및 IT화,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지원해왔다.
이번에도 중진공은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이사장 직속의 인공지능 전환(AX) 관련 총괄 의사결정기구인 “AX혁신 위원회”를 출범 시켰다.
위원회는 외부 전문가와 중진공 이사장 및 경영진 등으로 구성된 민관 협력 거버넌스로, 중소벤처기업의 AX 지원과 중진공의 전사적 AI 전략 수립·주요 과제 등에 대해 심의·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이날 출범식에는 위원으로 위촉된 산·학·연 등 각계의 AI 전문가 8명을 비롯해 중진공 이사장 및 상임이사, AI 혁신추진단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중진공의 AX 기본방향과 기업의 AX 지원사례가 공유됐으며, ‘AI 전환 시대, 중진공의 역할’을 주제로 전문가 좌담회를 진행했다.
기조발표를 맡은 정권우 네이버클라우드 기술리더는 “묻지마 AI도입이 아닌, 기업별 맞춤형 AI 도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민준 뤼튼AX 대표는 AI 스타트업으로서 성장경험을 공유하며,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과 수요기업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중진공 역할을 제언했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AX혁신 위원회는 기업의 AI전환을 가속화하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AI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실행 중심의 컨트롤타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이 AI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사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진공은 이날 오전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산업·공공·지역 인공지능 전환(AX)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AI기술·인프라 확산 △전문인력 양성 △지역맞춤 AI전환 지원 △창업 인프라 및 네트워킹 제공 △중진공 AX 전략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t8129@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