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임금근로자 2241만 5000명 중 월 400만 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전체의 27.5%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500만 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의 비중도 1.4%포인트 상승해 고임금층이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8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전체 취업자는 2888만 7000명으로 전년 동기(2884만 7000명)보다 4만 명 늘었다.
이 중 임금근로자는 2241만 5000명으로 전년보다 27만 6000명 늘었다. 임금 수준별로는 200만~300만 원 미만이 30.6%로 가장 많았고, 400만 원 이상 근로자는 27.5%였다. 300만~400만 원 미만 21.9%, 100만~200만 원 미만 9.9%, 100만 원 미만 9.6%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월 500만 원 이상 임금을 받는 근로자는 전년 대비 1.4%포인트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300만~400만 원 미만과 400만~500만 원 미만을 받는 근로자도 각각 0.6%포인트, 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100만~200만 원 미만과 200만~300만 원 미만을 받는 근로자는 각각 0.8%포인트, 1.6%포인트 감소했다.
산업소분류별로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168만 8000명(5.8%), 음식점업 166만 2000명(5.8%), 작물재배업 126만 명(4.4%) 순으로 취업자가 많았다. 특히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은 13만 5000명, 거주복지시설운영업은 3만 2000명이 늘어났다. 반면 작물재배업에서는 11만 5000명, 건물건설업에서는 6만 9000명이 줄어들어 대비되는 모습을 보였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비거주복지시설의 경우 고령화 등으로 인해 돌봄 수요 증가와, 노인 일자리 확대 영향으로 취업자가 늘었다"며 "작물재배업의 경우 올해 4월 한파 등 날씨 영향으로 인해 취업자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직업소분류별 취업자는 매장판매종사자 153만 9000명(5.3%), 청소관련종사자 127만 2000명(4.4%), 작물재배종사자 120만 5000명(4.2%)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은 자동차운전원 97만 2000명(6.1%), 작물재배종사자 71만 7000명(4.5%), 매장판매종사자 66만 3000명(4.1%) 순, 여성은 매장판매종사자 87만 6000명(6.8%), 청소관련종사자 87만 2000명(6.8%), 회계 및 경리사무원 72만 8000명(5.6%)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별로 보면, 중졸 이하의 경우 청소·건물관리 단순노무직 80만 1000명(23.9%), 농축산 숙련직 70만 3000명(21.0%), 조리 및 음식서비스직 22만 4000명(6.7%) 순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g1e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