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달러 패권이 약화되며 다극화하는 글로벌 통화 시스템으로 인한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이 선제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미국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세계 경제 질서 재편: 무역, 인공지능(AI), 금융 회복력의 해법 모색’을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환영사에서 “지금까지 우리 경제는 자유무역의 혜택 속에서 성장해왔지만 세계 경제 질서의 구조적 변화는 우리에게 새로운 전략적 방향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에 나선 국제금융 분야의 석학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미국의 재정적자 규모가 날로 커지면서 달러 패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까지 더해지면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은 더욱 다극화된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리스 옵스펠드 PIIE 선임연구위원도 ‘금융 분절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국제통화기금(IMF)과 다자개발은행(MDB) 등 국제 금융 협력 프레임워크, OECD와 주요 20개국(G20) 등 기존 글로벌 금융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주요 제도들을 약화하며 달러 패권의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달러 패권의 위기 속에서 우리 경제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가와 환율이 요동칠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인 ‘회복 탄력성’을 갖추는 것이 핵심”이라며 “특히 금융시장의 위기가 실물경제 전체로 번지는 ‘시스템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한국이 반도체를 무기로 균형을 잡고 실리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마틴 초르젬파 PIIE 선임연구위원은 “AI는 미중 전략 경쟁의 핵심으로 미국의 반도체 통제와 중국의 오픈모델 전략이 글로벌 AI 생태계를 양분하고 있다”며 “한국은 AI 응용 분야에서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나 반도체 생산국으로서 미중 양측의 압박 속에서 전략적 균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