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평가받는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가 글로벌 통화시스템이 다극화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갈수록 약해지는 달러 패권과 각국이 안보 논리에 따라 확대하고 있는 보호 무역주의가 주요 원인이라는 진단이다. 이에 따라 한국이 중국을 포함해 교역을 다각화하고 공급망 리스크를 선제관리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공동 개최한 '세계 경제질서 재편: 무역, AI, 금융회복력의 해법 모색'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로고프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제목이기도 한 ‘달러 이후의 질서’를 주제로 한 화상 기조연설을 통해 “달러는 여전히 세계 기축통화로서 압도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미국 재정적자 규모가 날로 커지면서 달러 패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까지 더해지면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은 더욱 다극화된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리스 옵스펠드 PIIE 선임연구위원도 자유로운 무역과 자본이동을 제약하는 '금융 분절화'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는 "IMF와 다자개발은행(MDB) 등 국제 금융협력 프레임워크, OECD와 G20 등 기존 글로벌 금융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주요 제도들을 약화시키며 달러 패권의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에 맞춰 한국이 교역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프리 쇼트 PIIE 선임연구위원은 '상호주의', '리쇼어링', '전략경쟁' 세 가지 키워드로 지난 1년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논리 기반 보호무역' 정책을 분석하며 "한국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을 통해 중국과의 교역 및 투자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진일 고려대 교수는 달러 중심 체제가 흔들리는 다극화된 통화 시스템 속에서 우리 경제의 안정을 지키려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가와 환율이 요동칠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인 회복탄력성을 갖추는 것이 핵심”이라며 “금융시장의 위기가 실물경제 전체로 번지는 시스템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