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대포통장 명의자 노릇을 하다 잠적한 한국인들의 신상을 텔레그램에 공개하는 이른바 ‘박제방’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은 대포통장 명의자, 즉 ‘장주’들을 표적으로 삼아 사진과 이름, 전화번호, 주소, 계좌번호 등 신상 정보를 유포한다. 보복성 신상 공개와 위협을 통해 추가적인 ‘배신’이나 ‘변심’을 막으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장주를 박제하는 텔레그램 채널들은 수천~수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업체들에게서 제보를 받아 신상 정보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활동한다.
구독자 2600명의 한 대화방은 “박제한 뒤 인생을 괴롭히겠다. 정신교육을 시키겠다”는 문구를 내걸었다. 운영자는 중국 국적으로 추정되며 개인 신상뿐 아니라 가족 정보까지 공개해 장주들에게 압력을 가했다.
심한 경우 협박도 나왔다. 한 장주의 여권 사진을 공개한 뒤 “저희 쪽 사람한테 사기 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드리겠다”며 중국어로 “오늘 밤 네 어머니가 위험할 것”이라고 위협한 사례가 전해졌다.
필리핀에서 범죄수익 3억원을 횡령하고 태국으로 도주했다는 명의자도 여권 정보가 공개되며 위치 제보를 받는 상황에 놓였다. 1만8000여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또 다른 대화방 역시 하루 1~2명씩 신상 정보가 공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제당한 장주들 가운데는 자필 반성문을 게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 장주는 “‘장’(통장)을 팔러 온 인생 ○○인데 제 돈만 보고 피해를 주고 가볍게 행동했다”며 자필로 반성문을 썼다. 운영자는 이를 공개하며 “반성문을 아무리 써도 용서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조롱했다.
더 나아가 일부 ‘장집’(대포통장 모집책) 대화방은 ‘출동팀’이라는 이름으로 일종의 체포조를 모집하기도 했다. 해당 업체는 먹튀 명의자를 붙잡아 무릎을 꿇린 뒤 이발기로 머리를 깎는 영상을 여과 없이 그대로 올려 참여자들에게 공포심을 조성했다.
태국에서 한때 대포통장 명의자 노릇을 한 경험이 있다는 A씨는 “아무리 잃을 게 없는 사람들이 (범죄단지로) 간다고 해도 가족들의 정보까지 모두 털린다는 건 부담될 수밖에 없다”며 “단순히 박제를 넘어 물리적으로 위협을 가할 수도 있는데 무서워서 도망가겠느냐”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