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이 깨끗하고 산소가 풍부한 여울에서만 서식하는 쉬리 치어가 청계천 상류 구간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일부 구간이지만 20년 전 복원된 청계천이 쉬리가 살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서식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올해 서울시설공단과 공동으로 실시한 담수어류 학술조사 결과 총 32종 1품종을 확인해 복원 전 4종에 비해 어류 종수가 8배 늘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상류인 청계광장 인근 모전교에서 하류인 충랑천 합류부까지 6개 지점을 대상으로 4월부터 9월까지 세 차례 실시되었다. 연구진은 20년간 동일한 조사 지점을 선택해 어류상 변화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왔다.
올해 연구진은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총 7목9과32종1품종 6700여 개 개체를 확인했다. 분류 체계에 따라 살펴보면 잉어목 어류가 23종 1품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망둑어목이 4종이었다. 우점종은 전체 개체 수의 약 38.1% 비율을 차지한 피라미이며, 아우점종은 참붕어(17.2%), 대륙송사리(12.7%) 등의 순이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줄납자루, 쉬리, 몰개, 참갈겨니, 얼룩동사리 등 6종, 외래종은 이스라엘잉어, 구피, 배스 등 2종 1품종이었다. 또한 인위적 영향으로 유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 어종인 구피 7개체와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인 배스 1개체도 확인됐다. 현장에서 포획된 어류는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현장 확인 후 채집된 장소에 방류됐다.
조사 구간별로는 상류(모전교~마전교)에서는 쉬리, 버들치, 참갈겨니 등 유속이 빠르고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 적응한 어종이 발견됐다. 중류(황학교~고산자교)에서는 참붕어, 줄몰개, 모래무지 등 유속이 완만하고 돌과 모래 등 다양한 하상 구조에 적응한 종, 하류(중랑천 합류부)에서는 대륙송사리, 납지리, 참붕어 등 유속이 느리고 수질에 대한 내성이 있는 종들이 확인돼 지점별로 뚜렷한 생태적 특성이 나타났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이번 조사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청계천 담수어류 공동 학술연구 성과 특별전 ‘청계어록’을 마련했다. 해당 전시는 학술조사 결과 및 민물고기 탐사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시민 누구나 쉽게 우리 민물고기를 통해 청계천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를 상상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청계천 복원 20년 여정을 담은 AI 활용 영상, 한국의 민물고기 세밀화, 청계천 민물고기 탐사대 기록 등 다양한 콘텐츠가 어우러져 시민들이 도심 생태 하천의 소중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이번 학술조사를 통해 훼손된 생태계라도 인간의 꾸준한 노력과 협력을 바탕으로 자생적인 생태 회복력을 되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소중한 사례”였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