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호주 사막 한가운데서 정체 불명의 금속 잔해가 불타는 채 발견돼 현지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초기 조사 결과 중국이 지난 9월 발사한 상업용 로켓의 일부가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2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 2시께 서호주 광산 마을 뉴먼에서 약 30㎞ 떨어진 필바라 사막 인근 도로에서 광부들이 불타는 물체를 발견하고 소방 당국에 신고했다. 현재 서호주 경찰과 소방 당국, 호주 우주국, 광산 운영자가 합동 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지 경찰은 페이스북을 통해 "초기 평가 결과 해당 물체는 탄소 섬유로 제작됐으며, 복합재로 덮인 압력 용기나 로켓 탱크로 보인다"며 "이전에 확인된 우주 쓰레기와 일치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밝혔다. 호주 교통안전국은 상업용 항공기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호주 플린더스대 우주고고학자인 앨리스 고먼 교수는 중국이 9월 발사한 제룽-3 로켓의 4단 부분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제룽 로켓은 중국의 고체연료 기반 로켓으로 주로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에 활용된다. 중국은 9월 한 달간 제룽 로켓을 수차례 발사한 바 있다. 고먼 교수는 "9월 25일 발사된 로켓의 잔해라면 지구 궤도를 한동안 돌다 갑자기 재진입한 것"이라며 "최근 재진입 징후가 포착되지 않아 예측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우주 쓰레기의 지상 추락은 비교적 드문 사례다. 우주 발사체는 설계 단계부터 대기권 재진입 시 마찰열로 대부분 소각되도록 제작되며, 노후 우주선은 통제된 재진입을 통해 무인 해역에 떨어지도록 계획된다. 지구 표면의 70% 이상이 바다인 점을 감안하면 육지 추락 확률은 더욱 낮다. 실제로 2023년 서호주 해변에서 발견된 우주선 잔해도 바다에 떨어진 뒤 해류에 밀려온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 로켓 발사 횟수가 급증하면서 우주 쓰레기의 계획 이탈이나 지상 추락 사례가 늘고 있다. 고먼 교수는 "로켓 발사 주체들이 우주 물체에 대한 수명 종료 계획을 반드시 수립해야 한다"며 "잔해가 불붙은 채 발견되는 경우는 여전히 드물지만, 사람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추락하는 사례는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다.
호주 우주국은 우주 쓰레기에 유해 물질이 잔류할 수 있다며 발견 시 절대 만지지 말고 즉시 당국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복합재로 덮인 압력 용기는 우주선에서 고압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로, 로켓 연료나 산화제 등이 담겨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hin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