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세계 경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충격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수출입업자들이 부담하고 있는 관세 비용은 조만간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경고다.
라가르드 총재는 19일(현지 시간) 미 CBS 방송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어느 시점이 되면 수출·수입업자들이 관세 때문에 이익이 줄어드는 상황을 더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가격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관세 부담의 약 3분의 2를 수출업자와 수입업자가 짊어지고 있다”며 “이들이 더 이상 이익 압박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 그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관세로 인한 경제 충격은 시간문제라는 것이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 관세 정책과 함께 인공지능(AI)을 비롯한 기술 발전이 세계 경제를 ‘전환기(Transformation)’로 몰아넣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관세는 세계 무역 지도를 바꾸고 새로운 동맹을 형성하며 교역하는 방식을 재편했다”며 “AI는 데이터 관리부터 데이트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은 협상 전략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양국의 강경한 태도를 두고 그는 “전형적인 협상 전술”이라며 “적대감이 있더라도 협상이 미중 경제에 모두 이익이기 때문에 양측은 결국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 “중국은 오랫동안 희토류를 비축하고 정제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이를 전 세계에 판매하는 매우 강력한 교역 우위를 확보했다”며 “그리고 지금 그 우위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