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열리면서 정치권의 시선이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에게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이 김 실장에 대한 각종 의혹을 제기하는 가운데, 온라인상에서도 김 실장의 언급량이 전년보다 104배 늘어나는 등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야가 김 실장의 증인 채택 여부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면서 김 실장은 이번 국감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19일 서울경제신문이 소셜네트워크(SNS)상의 텍스트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주는 ‘썸트렌드’를 통해 10월 1일부터 17일까지의 커뮤니티·인스타그램·X(엑스)의 ‘김현지’ 키워드 언급량을 살펴본 결과, 전체 언급량은 1만 747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무려 104배 늘었다. 당시 김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당시 대표)의 보좌관으로 언론 노출이 적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결과지만, 그가 총무비서관에 인선된 6월 한 달간의 언급량(1014건)도 이미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최근 그에 대한 관심은 뜨겁다.
김 실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지난 대선 이후 조금씩 늘다, 그의 국감 출석 여부가 화두로 떠오르기 시작한 지난달부터 폭증했다. 최근 1년간의 언급량 추이를 보면 대선 이전에는 한 달에 400~500건에 머무르다, 6월부터 1000건 이상으로 늘었다. 총무비서관에서 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긴 9월에는 3000건을 돌파했으며, 10월 언급량은 벌써 1만 건을 뛰어넘었다.
이 같은 흐름은 야권의 강력한 공세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실 소관 상임위원회인 운영위원회뿐만 아니라, 법사위·농해수위·행안위·국토위·기재위 등 6곳에서 김 실장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법사위는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송금 사건 개입 의혹, 농해수위는 김인호 산림청장 인사 개입 의혹 등이 이유다. 다만 현재까지 김 실장이 증인으로 채택된 상임위는 없다.
같은 기간 긍·부정 추이를 살펴보면 부정적 언급이 79.6%, 긍정적 언급이 14.1%로 부정 평가가 압도적이다. ‘의혹’ ‘범죄’ ‘혐의’ 등의 키워드가 자주 함께 언급됐기 때문이다. 야권은 김 실장이 단순히 대통령의 최측근일 뿐만 아니라 ‘비선실세’ ‘문고리 권력’이라고 지칭하며 각종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데, 이 같은 여론전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과반이 김 실장의 국감 출석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천지일보 의뢰로 코리아정보리서치가 13~14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여부를 물은 결과 ‘출석해야 한다’는 응답이 59.1%, ‘출석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23.5%로 집계됐다. 응답을 유보한 비율은 17.4%였다.
여당 내에서도 ‘불출석할 이유가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9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제가 만약 김 비서관이라면 나오겠다”며 “국민의힘은 ‘만사현통’이라고 하지만 그런 건 없다. 똑똑하고 야무지다. 저 같으면 나와서 한바탕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도 앞서 “(국민의힘이) 이상한 방식으로 자꾸 문제를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해소될 필요도 있다”며 “안 나올 이유는 없다”고 한 바 있다.
김 실장의 증인 채택 여부는 오는 29일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확정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여야 논의를 거쳐 결정해야 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가짜뉴스’에는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국민소통위는 17일 “김현지 실장을 대상으로 한 근거 없는 허위·비방성 콘텐츠가 유튜브를 중심으로 지속 확산되고 있다”며 “단순한 표현의 자유 차원이 아닌 조직적이고 악의적으로 허위조작정보를 제작·유통하는 계정과 사용자에 대해서 플랫폼 신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휴대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을 통해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1.8%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