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욕설 문자’ 논란으로 여야 간 극한 대치를 이룬 가운데 오후에도 20여 분만에 파행됐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박정훈 국민의힘 의원 간 책임 공방을 두고 여야가 고성을 주고받으며 대립하자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회의장에서 취재 중이던 기자들을 모두 강제 퇴장시킨 뒤 일방적으로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했다.
16일 과방위는 오후 2시 30분 현재 두 번째 감사 중지가 선언됐다. 최 위원장은 2시 25분께 여당 간사인 김현 민주당 의원이 발언하던 도중 발언을 끊고 “(사진·영상 기자들이) 선택적으로 찍고 있는데, 기자분들 나가 달라”며 “비공개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어 국감 중지를 선포하고 과방위 전체회의로 전환했다. 그러면서 “위원 신상과 관련된 안건은 간사 간의 협의로 비공개 실시한다”고 했다.
이날 과방위는 우주항공청,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앞서 14일 불거진 ‘욕설 문자’ 논란를 두고 신상발언이 이어지면서 시작도 못하고 파행을 겪었다.
앞서 김 의원은 14일 열린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박 의원이 지난달 초 자신에게 보낸 비난 문자를 박 의원 휴대전화 번호와 함께 공개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박 의원은 김 의원에게 ‘에휴 이 찌질한 놈아’라는 내용을 전송했다.
박 의원은 “김 의원도 욕설 문자를 보냈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이날 오전 회의에서 자신의 통화·문자 전송 내역을 공개하면서 “문자를 보낸 적이 없다”고 맞받았다. 최 위원장은 진실공방 양상으로 흐르자 “김 의원은 보낸 적이 없다는 내용을 증명했다”며 “박 의원이 해명하라”고 압박했다. 박 의원은 “나에 대한 청문회를 하는거냐”고 반발했고 여야는 고성과 함께 격하게 치고받았다.
이 같은 대치 속에 국감은 오전에 개회 40여 분만에 중지됐고, 오후 2시에 가까스로 속개됐다. 하지만 오전 상황과 마찬가지로 두 의원이 각자 신상발언을 요청하며 비난전에 다시 불을 붙였고, 30분도 안돼 또 한 번 파행됐다.
김 의원은 속개된 오후 회의에서 박 의원이 주장한 자신의 욕설 문자에 대해 “허위사실”이라며 “저도 고소를 했으니 사법적 판단을 받아보자”고 했다. 박 의원은 김 의원의 욕설 문자에 대해 “저에게 찌질하다고 해서, ‘그 단어는 너한테만 어울려 거울을 봐 이 창의력 없는 놈아’라고 답장을 보냈다. 그건 왜 공개 안하냐”며 “김 의원이 얻은 건 ‘국민 찌질이’가 된 것밖에 없다”고 했다.
야당은 최 위원장이 편파적 의사 진행을 하고 있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최 위원장은 국민의힘 위원들이 고성을 내며 항의하자 “국민의힘은 왜 제지가 안되죠? 아무리 부탁해도?”라면서 불편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의원들은 박 의원이 얘기할 때 이렇게 안 끼어든다”고도 했다.
여야 의원들은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된 이후에도 막말을 주고받으며 격하게 충돌했다. 한 의원이 “한 주먹 거리”라고 하자 그 말을 들은 상대 의원이 “너는 내가 이긴다”고 폭언을 주고받기도 했다.
한편 여야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고소·고발 및 국회 윤리위 제소 등으로 치고받았다.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박 의원의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한 혐의(개인정보보호법 위반)로 15일 김 의원을 서울경찰청에 고발했다. 앞서 지난달 김 의원이 민주당 법안 강행 통과에 항의하는 박 의원의 멱살을 잡았다는 혐의(형법상 폭행)도 포함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 의안과에 박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다. 백승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박 의원이 과방위 국감장에서 김 의원을 향해 욕설과 폭언을 했는데 국회의원 뿐 아니라 의원을 뽑은 국민도 모욕한 행위”라며 “국회 품위를 훼손했기 때문에 징계안을 제출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