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집권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정권 붕괴 이후 총리 자리를 둘러싼 당별 이합집산과 수싸움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총리 지명 결정권을 쥔 중의원(465석) 내 과반 의석(233석) 확보가 여야 어느 한쪽도 쉽지 않아 ‘상대 진영 흔들기’로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경쟁이 거세다.
15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는 이날 요시무라 히로후미 일본유신회 공동대표를 국회에서 만나 16일부터 연립 정권을 위한 정책 협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일본유신회는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 주도의 ‘야권 연합’ 논의의 참여 정당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날 국회에서는 후지타 후미타케 일본유신회 공동대표는 노다 요시히코 입헌민주당 대표, 다마키 유이치로 국민민주당 대표와 함께 다마키 대표를 단일 총리 후보로 한 정권 교체 논의를 주고받기도 했다. 요시무라 공동대표는 다카이치 총재와의 만남 후 ‘총리 지명 선거에서 다카이치를 지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정책 협의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현재 당별 의석은 자민당 196석, 입헌민주당 148석, 일본유신회 35석, 국민민주당 27석, 공명당 24석 등이다.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 둘 중 한 곳만 자민당으로 돌아서도 다카이치의 총리 입성이 유리해진다. 특히 야권 연합의 한 축이던 일본유신회가 이탈하면 입헌민주당 주도의 ‘정권 탈환’ 시도는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다카이치 총재도 이 점을 노리고 일본유신회가 추진하는 부수도(副首都) 구상에 협력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진행된 야3당 대표 회동은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단일 후보로 거론되는 다마키 대표가 여전히 입헌민주당의 안보·원전 정책 수정을 요구하며 거리를 둔 탓이다. 국민민주당은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고 원전 재가동을 지지하는 반면 입헌민주당은 안보 관련법의 위헌 부분 폐지를 요구하고 원전 축소를 강령에 명시하고 있다. 다마키 대표는 회동 직후 “3당이 연합해도 과반이 안 돼 결국 소수 여당이 베이스가 되고 내가 총리가 돼도 엄중한 상황이 된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입헌민주당과 여전히 안보·원전 정책에서 거리감이 있었다고 전했다. 다만 “21일 임시국회 전 간사장급에서 신중하게 또 만나 논의를 이어갔으면 한다고 이야기했다”고 말해 여지를 남겨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so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