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대상자가 환급받는 연 최대 24만 원의 지역화폐를 일반 교통카드에 직접 충전할 수 있는 '교통비 쿠폰' 서비스를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도는 지난해 5월부터 K패스 사업 대상이 아닌 6~18세 어린이·청소년을 위해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을 추진했다. 연 최대 24만 원, 분기별 6만 원 한도로 대중교통 이용 금액을 환급한다. 올 상반기 기준 누적 이용자는 69만명에 이른다.
다만 지역화폐로 받은 환급금을 그대로 교통비로 사용할 수 없어 아쉽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도는 지역화폐로 지급된 교통비 지원금을 '경기지역화폐' 앱에서 교통비로 전환해 교통카드에 충전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 절차는 지원 신청, 교통비 지급, 교통비 전환, 카드 충전의 단계로 이뤄진다. 신청자는 온라인으로 지원을 신청하고, 분기별 정산을 통해 지역화폐로 교통비를 환급받는다.
이후 경기지역화폐 앱에서 환급받은 지원금을 교통비 포인트로 전환한 뒤, 근거리통신기술(NFC)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선불형 교통카드를 접촉하면 충전이 완료된다.
이 서비스는 이용 편의를 위한 선택형 서비스여서 사용 여부는 이용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콜센터 또는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윤태완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교통비 쿠폰 서비스는 전국 최초로 도입되는 혁신적 지원 방식으로, 지역화폐로 받은 교통비 지원금을 실제 교통비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활과 밀접한 교통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