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올해 1~8월 사이 캄보디아에서 감금 피해 등을 신고한 한국인들의 수가 330명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는 본인 또는 국내의 가족, 지인 등 신고자 수를 모두 합한 숫자다. 330명 중 약 260여 명의 경우 감금 상태가 아니라는 사실이 이미 확인됐다. 문제는 나머지 80여 명이다. 이들의 행방이나 안전은 여전히 확인이 필요한 상태다.
우리 정부가 이들의 행방이나 안전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우선 실제로 감금되거나 하는 경우 휴대전화를 빼앗겨 후속 신고를 하지 못하는 상황일 수 있다. 지난 8월 캄보디아에서 숨진 채 발견된 대학생 A씨 역시 현지 범죄 조직에 감금당한 후 휴대전화를 빼앗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 신고 후 연락이 두절되는 사례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단순한 연락 두절로 인해 가족·지인이 신고하는 경우, 혹은 자발적으로 범죄에 가담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 캄보디아에서의 우리 국민 피해 사례가 얼마나 되는지 집계하기 어려운 이유다. 실제로 캄보디아 당국은 지난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범죄 현장을 단속해 90명의 한국인을 검거한 바 있다. 이들은 캄보디아에서 추방 대상이지만, 자발적으로 범죄에 가담한 만큼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의 영사조력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귀국한 일부를 제외하고 현재 60여명이 현지에 남아 있으며, 우리 정부는 이들의 국내 송환을 위해 경찰청 등과 협력 중이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캄보디아 전체를 범죄의 온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늘면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현지에서 발견된 중국인 시신을 한국인으로 잘못 언급하는 등의 가짜 뉴스도 퍼지고 있어서다. 외교부 당국자는 "캄보디아 교민이 1만 여명이고 우리 기업도 수백 곳인데, 이들은 대부분 캄보디아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사업을 해 온만큼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 외교부는 지난해부터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인 대상 범죄가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현지 인력 충원 등을 관련 부처에 요청해왔다. 이후 올 들어 캄보디아 여행경보를 세 차례에 걸쳐 상향 조정했으며, 이달 초에는 16년 만의 한국-캄보디아 영사협의회를 개최해 캄보디아 측에 사망한 우리 국민의 부검 및 운구, 용의자 조사 및 처벌, 온라인 스캠 근절과 관련 사건 재발방지책 등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