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송파구 가락동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핵·화생방 민방위 대피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함께 옛 구치소 부지에 조성 중인 공공아파트 단지 ‘송파 창의혁신 공공주택’의 지하 3층에 핵·화생방 대피시설을 설치하기로 하고 설계용역을 진행 중이다. 준공 목표 시점은 아파트 완공 시기와 같은 2028년이다.
지방자치단체가 핵 방호 기능을 갖춘 민방위 대피시설을 독자적으로 건립하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이 시설에는 총 3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연면적은 2147㎡ 규모로 최대 1020명을 동시에 수용 가능하다.
내부에는 핵이나 화생방 공격 시 14일 동안 자급자족이 가능한 생존 설비가 갖춰진다. 청정 구역, 제독 구역, 기계실과 함께 급수 및 위생시설도 마련되며, 시는 평상시에 이 시설을 주민 운동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시범 모델로 삼아 향후 다른 지역에도 유사한 민방위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핵·화생방은 물론 전자기펄스(EMP) 공격까지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을 더하고, 기존 민방위 시설의 생존 여건을 보완하는 개선 작업도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수립한 ‘디펜스 서울 2030’ 계획에 핵·화생방 대피시설 건립을 주요 사업으로 명시함에 따라 서울광장 지하와 주요 지하철 역사에도 화생방 대피시설 설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