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구원이 동물정책의 패러다임을 ‘보호’에서 ‘복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단순히 학대와 방치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수준을 넘어,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하는 복지 중심의 행정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연구원은 13일 ‘부산의 동물복지, 보호를 넘어 공존으로’를 주제로 한 BDI 정책포커스 제442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는 유기동물 보호를 출발점으로 한 ‘부산형 동물복지 통합모델’의 필요성과 함께 행정 중심의 보호정책을 시민 참여형 복지정책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새 정부는 국정과제를 통해 동물정책의 방향을 동물복지 정책기반 강화와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 경감, 건강한 반려문화 확산, 연관산업 육성 등 4개 축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단순 보호에서 벗어나 동물의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이는 복지 중심 정책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부산시도 올해 상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반려동물과’를 신설하고 기장 철마지역에 반려문화공원을 조성하는 등 동물복지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제1회 동물보호축제를 부산에서 개최하는 등 관련 행정체계 개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부산연구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부산형 동물복지 통합모델’을 구체적인 4단계 로드맵으로 제시했다.
1단계는 공공·민간·시민사회가 협력하는 거버넌스 구축, 2단계는 시민·전문가·단체가 참여하는 풀뿌리 조직 활성화, 3단계는 구조·임시보호·입양·정착의 순환 체계 확립, 4단계는 도시정체성과 연계한 입양문화 확산이다.
특히 ‘야구의 도시 부산’ ‘영화의 도시 부산’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활용해 사직야구장 반려견 시구, 부산국제영화제 연계 입양 캠페인 등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입양문화를 확산하는 전략도 제안했다.
장지현 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은 “동물복지는 더 이상 일부의 관심사가 아닌 시민 모두의 공동가치”라며 “유기동물 보호에서 출발하는 부산형 통합모델을 통해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scity@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