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기고]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감사, 기억, 유산

■하태욱 주알마티총영사

알마티서 강제이주 관련 공연 선봬

문화·전통공간 'K파크'도 본격 착공

韓, 관심보내 모범 동포사례 만들길

하태욱 주알마티총영사. 사진제공=외교부




한국의 가을은 추석 명절에 오랜만에 가족들이 만나 정을 나누는 특별한 계절이지만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에게 가을은 1937년 강제 이주의 아픔이 먼저 떠오르는 계절인 듯하다.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알마티에서 개최된 다양한 행사도 이러한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서울문화재단·고려극장이 협업해 고려인들의 강제 이주 과정을 그린 ‘열차37호’ 뮤지컬 공연, 홍범도 장군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독립군: 끝나지 않은 전쟁’이 그것이다.

일제 강점기 고향을 떠나 연해주 등 극동 지역에 거주하던 우리 선조들은 영문도 모른 채 낯선 땅으로 향해야 했다. 9월 9일에 떠난 첫 열차는 6600㎞를 달려 한 달 후인 10월 9일 카자흐스탄 동부 우슈토베역에 도착했다. 강제 이주는 그해 말까지 지속돼 124회의 열차 편으로 총 17만 명이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지로 이주했다.

‘세 개의 작은 산’이라는 뜻의 우슈토베는 지금도 바람이 거칠게 부는 황량한 구릉지대다.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은 혹독한 겨울을 견뎌내려 바슈토베라는 언덕 밑에 토굴을 파고 첫 겨울을 났다고 한다. 최근 방문한 그곳에서 ‘이곳은 원동에서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이 1937년 10월 9일부터 1938년 4월 10일까지 토굴을 짓고 살았던 초기 정착지’라고 적힌 한글 기념비를 보고 우리 동포들의 지난했던 삶의 무게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지금은 카자흐스탄의 자랑스러운 구성원으로 현지에서 칭송이 자자하다. 카자흐스탄의 130여 민족 중에서 전체 인구의 0.6%인 소수민족이지만 일부는 카자흐스탄 포브스지가 선정한 부호에 포함되기도 하고, 정계에 진출해 상·하원 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스포츠·문화예술·학계 등 분야에서 걸출한 성과를 드러내기도 한다. 현지 고려인들을 만날 때마다 이들에 대한 자랑이 끊이지 않는다.

이러한 고려인 사회를 대표하는 고려인협회가 최근 창립 35주년을 맞이해 K파크 건립을 위한 착공식을 개최했다. K파크는 고려인 정주 90년이 되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알마티 인근 알라타우 신도시 내 10ha 규모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정주를 기념하는 조형물을 비롯해 고려인 문화 공간(고려일보·콘퍼런스홀 등)과 한국 전통 정원 등으로 꾸밀 예정이다.

지금은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에 놓인 커다란 기념석에는 ‘감사·기억·유산’이란 글자가 한글·러시아어 그리고 카자흐스탄어로 적혀 있다. 감사는 어려운 시기 고려인들을 따뜻하게 맞이해준 카자흐스탄 민족들의 호의와 환대에 대한 고마움이다. 기억은 이주 1세대들의 시련과 고난을 항상 기억하자는 취지이며 유산은 이러한 감사와 기억을 미래 세대에 잘 계승하자는 뜻으로 이해된다.

척박한 땅에서 민족 특유의 강인한 정신력으로 성장해온 고려인들, 극동 지역에서 운영하던 고려일보와 고려극장을 이주 후에도 지속하며 한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는 데 고집스러웠던 고려인들,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자랑스러운 조국에 가슴 벅차했던 고려인들. 그들의 프로젝트가 모국인 대한민국의 따뜻한 관심이 보태져 성공적으로 완수되고 이를 통해 카자흐스탄에 K문화를 전파해 든든한 대한민국을 자랑하며 전 세계 대한민국 동포들에게 모범적인 동포 사회의 사례로 널리 알려지길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