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고령화 장기화로 20대 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결국 70대 이상 노년층보다도 적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때 성인 인구의 중심이던 20대가 이제는 가장 소수 세대로 전락한 셈이다.
12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0대 인구는 전년보다 19만3000명 감소한 630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10세 미만(-19만2000명), 40대(-16만9000명)보다 높아 전 세대 중 가장 큰 감소폭이었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4년 연속 줄고 있다. 외국인 유입 등으로 다소 등락이 있었지만 매년 14만~21만명씩 감소세를 이어온 결과, 지난해 1925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654만3000명)에 추월당했다.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20대는 대한민국 인구 피라미드의 중심에 있었지만, 이제는 성인 연령대 중 가장 인구가 적은 세대로 뒤바뀌었다.
노동시장에서도 20대의 존재감은 점점 옅어지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8월(61.7%) 이후 1년 넘게 제자리걸음을 이어가며 반등하지 못했다. 같은 달 실업률은 5.0%로, 2022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공개채용보다 수시 채용을 우선하게 된 대기업의 채용 방식 변화도 청년층을 압박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지난해 대졸 신입 중 28.1%가 사실상 경력직이었다. 이는 전년보다 2.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여기에 미국 관세정책의 여파로 제조업 경기가 부진하고 건설업까지 위축되면서, 20대의 일자리 위기는 한층 심화되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대 인구 감소와 취업난은 단순한 세대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근간을 흔드는 신호”라며 “저출산·고령화 구조를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