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남부의 대표적인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의 재건축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된다. 현재 최고 24층 5540가구를 최고 45층 9200가구로 재건축하는 정비계획 수립이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통해 진행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중 정비계획 수립·정비구역 지정이 이뤄지고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1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올림픽선수기자촌 주민 재건축 추진 단체인 재건축추진단은 법적 요건인 동의율 50% 이상을 확보해 지난달 30일 관할 송파구청에 재건축 추진위원회 구성을 신청했다. 송파구청의 검토·인가를 거쳐 이르면 이달 중 추진위가 구성될 전망이다. 추진위는 재건축 사업 시행자인 조합 설립 전의 임시 법정 단체다.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법정 단체 구성을 계기로 재건축 사업 추진이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단지의 추진위 구성은 2016년 말 재건축추진준비위원회가 설립되며 재건축 추진이 시작된 지 9년 만이다.
정비계획 수립을 위해 진행 중인 신통기획은 상반기 1차 자문에 이어 연내 2차 자문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2차 자문으로 신통기획이 마무리되면 송파구청의 열람 공고, 주민 설명회, 구의회 의견 청취 등 정비계획 입안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 상정돼 정비구역·정비계획이 결정된다. 이후 추진단은 주민 동의율 75% 이상이 필요한 조합 설립을 내년 중 마무리할 계획이다.
재건축 사업을 통해 현재 3종 일반주거지역인 단지의 용적률은 137%에서 270%로 높아질 예정이다. 유상근 추진단장은 “주민 설문 조사 결과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의견이 많아 용적률을 3종 일반주거지역의 상한인 300%보다 낮게 정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선수기자촌은 서울시가 8월 발표한 공공 지원 규제 개선 정책이 처음 적용되는 사례다. 현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에서 유일한 단지다. 기존에는 정비구역 지정 전 추진위 구성이 자치구가 서울시의 예산 지원을 받아 정비업체를 선정하는 공공 지원 제도에 따라 진행됐다. 예산 지원, 정비업체 선정을 위한 용역 발주 등 행정 절차 진행 과정이 추진위 구성 지연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서울시는 자치구가 갈등이 없고 주민 역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한 사업장은 공공 지원 없는 추진위 구성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추진단은 9월 5일 서강석 송파구청장 면담을 통해 공공 지원 없는 추진위 구성을 승인 받았다.
올림픽선수기자촌은 7월 30일 전용 83㎡가 29억 3000만 원에 신고가로 매매 거래가 이뤄졌다. 동일주택형이 지난해 12월 21~22억 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7개월 만에 7억 원가량 오른 것이다. 단지의 한 공인중개사는 “재건축 사업에 대한 기대로 매수 대기 수요가 꾸준한 편”이라며 “주로 30억 원대 이하 가격으로 매수 가능한 전용 83~84㎡ 이하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선수기자촌은 1988년 서울올림픽 참가 선수와 기자를 위한 숙소로 122개 동, 5540가구 규모로 조성됐다. 건물의 부채꼴 형태 배치, 아파트 단지 최초의 지하주차장 도입 등 새로운 시도가 적용돼 국내 건축 역사에서 의미가 있는 단지로 평가된다. 2023년 2월 송파구청의 안전진단을 통과해 재건축이 가능하게 됐다.
재건축 사업이 완료되면 인근 1만 2032가구 규모의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에 이은 신축 대단지의 조성으로 일대 아파트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올림픽선수기자촌은 단지 전체가 평지 지형이며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가깝고 풍부한 녹지도 갖춰져 있다”며 “우수한 입지에 신축으로 탈바꿈하면 서울 동남부 지역의 시세를 주도하는 대표 단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