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3 지방선거까지 아직 7개월 넘게 남았지만 여야는 지방선거 채비에 분주한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달 말까지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한 기준들을 확정하기로 한 가운데 구체화 작업에 들어갔다. 국민의힘은 쉽지 않다고 평가받는 선거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공천 룰을 조기 확정할 계획이다.
12일 민주당은 심사 대상에 대해 △예외 없는 부적격 △부적격 기준 여부를 어떻게 할지 내부 검토 중이다. 예외 없는 부적격은 서류 접수 단계에서 컷오프하고 그 외 부적격의 경우 정밀 심사하겠다는 계획이다. 예외 없는 부적격에는 강력 범죄, 음주운전, 투기 목적 다주택자 등 기준 기존에 더해 3번 이상 탈당 이력을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정청래 대표가 ‘억울한 컷오프’를 없애겠다고 했던 만큼 여러 안들을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광역·기초의원의 경우 당원 결정권을 높이는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이 역시 정 대표의 ‘당원 주권 정당’이 반영됐다. 관련해 조승래 사무총장은 10일 “지금도 기초·광역 의원은 거의 다 권리당원 경선을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수도권·부산·충청권 등은 중도층 표심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일반 국민의 경선 투표 참여도 함께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5선의 나경원 의원이 이끌고 있는 국민의힘 총괄기획단은 연말까지 후보 공천 시스템 윤곽을 만드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현역을 포함해 경선을 원칙으로 전략공천은 최소화한다는 기조다. 국민의힘이 현역 시장인 서울·부산 등 격전지에서도 가급적 후보는 경선에 부치겠다는 의도다. 기획단은 경쟁력 있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도 초점을 맞출 것으로 관측된다. 완전 국민 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여부도 논의할 예정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대거 출마가 예상된다. 현역 의원이 내년 4월 30일 이전에 사퇴할 경우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 보궐선거도 지방선거와 함께 열리게 된다. 이에 내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역대 최다였던 2014년 재보궐선거의 15석을 넘길 가능성도 거론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