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나 지인에게 ‘집에 낯선 남성이 침입했다’고 속이는 이른바 ‘AI 노숙자 장난(AI Homeless prank)’이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하자, 영국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다.
8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AI 노숙자 장난’이 유행하자 공식 경고문을 내고 “허위 신고가 실제 범죄 대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장난은 ‘집에 낯선 노숙자가 들어와 나가지 않는다’는 내용을 꾸며 가족이나 지인을 속이는 방식이다. 이용자들은 AI로 생성한 가짜 인물 사진을 활용해 낯선 남성이 소파에 앉아 있거나 침대에 누워 있는 모습을 만들어, “누가 집에 들어왔다. 어떻게 해야 하냐”는 문자를 함께 전송한다.
틱톡에는 이런 방식의 영상이 다수 올라와 있다. 한 인플루언서는 남자친구에게 ‘낯선 남자가 집에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AI로 만든 사진을 보냈고, 놀란 남자친구가 “집이냐”, “빨리 밖으로 나와라”라고 답하자, 상황을 밝히며 “속이기에 성공했다”고 말하는 장면이 담겼다. 해당 영상은 70만 회 이상 조회됐다.
경찰은 실제로 최근 한 부모가 “딸이 혼자 있는 집에 남자가 들어왔다”고 신고했으나, 조사 결과 장난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영국 경찰은 “이 같은 장난으로 긴급 신고 자원이 불필요하게 투입됐다”며 “실제 범죄 발생 시 대응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BBC는 “이른바 ‘AI 노숙자 장난’이 틱톡 등에서 새로운 챌린지 형태로 번지고 있다”며 “대부분의 사진은 AI로 생성된 가짜 이미지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