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발이 아닌 국외 상업(구매) 방식으로 2033년까지 약 3조 4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이 시작 단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일반경쟁 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는데 지난 9월 29일 마감한 결과 미국의 방산업체 한 곳만 단독입찰하면서 유찰됐다.
7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사업에는 ‘CH-47F/ER’을 제안한 미 방산업체 보잉과 ‘CH-53K’를 제안한 미 록히드마틴 자회사 시코르스키가 입찰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보잉만 단독입찰해 유찰됐다. 보잉과 록히드마틴은 미 항공우주분야 방산업계의 양대 산맥이다.
유력 경쟁업체인 시코르스키가 입찰 등록을 하지 않으면서 보잉의 제안서 제출과 상관없이 유찰된 것이다. 경쟁 입찰 구도가 무너지면서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6월 사업 공고가 발표된 초반 분위기와 다르게 유찰되면서 방위사업청이 당황했다는 후문이다. 이 때문인지 방사청이 이례적으로 1차 입찰 마감(9월 29일) 후 3일 만인 10월 2일 서둘러서 2차 입찰 공고를 냈다. 사업설명회는 10월 15일, 입찰 참가 등록은 10월 27일까지다. 사업 지연을 우려해 1차 공고 때 접수 기간을 세 달여 둔 것과 달리 이번에는 한 달도 채 안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일반경쟁과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입찰 이후 가격 협상 을 거쳐 설정된 총사업비 규모에 맞는 가격을 제시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라며 “가격부담 때문인지 입찰 등록이 예상됐던 업체가 참가하지 않아 일단 사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재공고를 냈다”고 말했다.
방산업계에선 록히드마틴이 ‘가격부담’을 이유로 입찰을 포기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록히드마틴이 고려했던 최종 제안가가 방위사업청이 제시한 총사업비를 넘어섰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23년 4월 13일 열린 152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서 ‘특수작전용대형기동헬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심의·의결하면서 총사업비로 3조 7000억 원을 결정했는데 2년이 지나 3000억 원의 예산이 삭감됐다.
시코르스키의 모기업인 록히드마틴 관계자는 불참 배경에 대해 “이번 사업을 신중히 검토한 결과 방위사업청이 제시한 가격이나 조건으로는 최신예 CH-53K 기종을 한국이 요구하는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플랫폼으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대한민국 항공우주분야 발전과 한국의 안보에 기여할 기회를 계속 모색하겠지만 가격이나 조건이 조정되지 않으면 입찰 참가 보류 방침을 바꾸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만약 입찰 재공고를 통해서도 이번 사업이 경쟁 입찰 구도가 안된다면 계획을 바꿔 수의계약으로 변경하거나 총사업비를 증액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특별한 사유가 아니면 방추위가 한번 결정한 총사업비를 증액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방산업계는 이번 사업이 지난 2023년 노후화된 육군 수송헬기 ‘CH-47D’ 대체기 18대를 도입하는 ‘대형기동헬기-Ⅱ 사업’의 데자뷔가 될 수 있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023년 보잉과 록히드마틴은 ‘대형기동헬기-Ⅱ 구매사업’ 때도 양사는 수주 경쟁을 치열하게 치룬 적이 있다. 미국 정부가 보증하는 대외군사판매(FMS)가 적용되는 CH-47F와 일반 상업구매로 판매하는 CH-53K이 경쟁하는 형태였지만 2022년 두 차례의 입찰공고에서 록히드마틴이 불참했다. 결국 2023년 3월 방추위는 기존 경쟁 입찰 방식으로 추진되던 구매계획을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조정해 CH-47F 기종으로 최종 결정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은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을 보강하기 위한 사업이다. 사업 예산으로 23억 5500만 달러(약 3조 3300억 원)기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26년부터 2033년까지다. 20여대를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 보잉이 제안한 CH-47F/ER는 CH-47A부터 최근의 CH-47F과 ‘MH-47G’에 이르기까지 수십년 간 개량을 거듭한 CH-47 계열의 최신 버전이다. 미군 주력 특수전헬기 중의 하나인 MH-47G도 CH-47F를 특수전용으로 개조한 것이다. 길이는 15.8m, 최대속도는 시속 340㎞, 전투행동 반경은 630㎞다. 전자식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엔진 출력 4800마력으로 크게 증가했다. 40여명의 특수부대원을 수송할 수 있다. 대당 가격은 보통 헬기보다 훨씬 비싼 5700만 달러(한화 740억원)에 달한다. 경쟁 모델인 CH-53K 보다는 저렴하다.
시코르스키가 제안한 CH-53K는 미 해병대가 30여년간 사용한 CH-53E의 개량형이다. CH-53K의 제원을 살펴보면 길이는 22.28m, 폭(로터 포함)은 23.99m에 이른다. 최대 속력은 시속 315㎞, 항속거리는 841㎞다. 최대 16.3t의 화물 수송이 가능하다. 7500 엔진마력의 T408-GE-400 터보샤프트 엔진 3기를 장착했다. 메인로터(자동으로 2분 내 접을 수 있다) 및 꼬리 동체를 폴딩형식으로 주기가 가능해 해상작전시 상륙함 등에서 해상 운용이 용이하다는 강점도 있다. 대당 가격은 1000억 원이 넘어 비싼 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