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당초 1일(현지 시간)부터 부과하겠다고 했던 수입 의약품 100% 관세 시기를 미루기로 했다는 현지 보도가 나왔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1일 백악관 당국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현재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협상을 진행하면서 의약품 관세 계획을 잠정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고 해외에서 수입되는 의약품과 대형 트럭, 주방·욕실 가구, 소파 등 연질가구 등에 대해 이달 1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들 품목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의약품 100%, 대형 트럭 25%, 주방·욕실 가구 50%, 소파 등 연질가구 30% 등으로 매겨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의약품에 관해 “기업이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 않다면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특허가 만료된 원조 의약품을 복제한 의약품 가운데 특정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건설하고 있다는 의미는 ‘착공’이나 ‘공사 중’을 의미한다”며 “공장 건설이 시작됐다면 이들 업체의 의약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이후 관련 행정명령 등에 서명하지 않고 있다. 제약 업체들이 해당 발표 이후 백악관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까닭이다. 화이자의 경우 지난달 30일 미국 내 신약 판매 가격을 50% 가까이 내리는 조치를 발표했다. 또 미국 내에 700억 달러(98조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화이자에 대한 3년 관세 유예를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 부과를 미루면서 한국 바이오 기업들도 당분간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관세를 어느 날 갑자기 시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워싱턴 정가의 움직임에 긴장을 늦추지도 못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