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2일 법원이 자신에게 발송한 증인 소환장이 ‘폐문부재’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과 관련해 “내란 특검의 언플”이라고 규정하며 “정치특검의 보수분열 의도에 말려들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내란 특검을 겨냥해 “진실규명보다는 이참에 보수를 분열하게 하겠다는 정치적 목적을 우선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법원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자신에게 발송한 증인 소환장이 전달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제가 거제에서 지내고 있다고 공개된 상태인데 집에 없는 걸 알면서 왜 언플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한 전 대표는 “특검이 강제구인을 얘기하는데, 제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드릴 테니 강제구인하려면 하라”며 “강제구인 영장이 발부되면 그 집행에 당당하게 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검이 제게 ‘본인도 참고인이자 피해자’라고 했다. 그런데 저한데 이렇게 매달리는 건 정치 편향과 무능을 자인하는 것”이라며 “특검 발대로라면 저의 새로운 진술이 없으면 사건이 안 된다는 건데, 수사가 석 달 반이 지났는데 벌써 도망갈 탈출구부터 찾고 있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말로 진실을 규명하고 싶으면 계엄 넉 달 전에 이미 계엄을 확신할 근거를 갖고 있었다는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한 민주당 사람들을 불러 물어보라”며 “누구나 어떤 일이 있었는지 다 알고 있는 12월 3일에만 집착하지 말고, 4개월 전 상황을 민주당과 김 총리를 철저히 조사해서 다시 재현하라. 그러면 언제 어떤 방식으로 계엄이 준비되고 있었는지 그 전모가 드러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한 전 대표는 통일교 ‘정교 유착’ 의혹으로 고초를 겪고 있는 국민의힘에 대해서는 “특정 집단과 어떤 거래관계를 통해 특정한 목적을 이룬다는 서로 간의 이해합치로 이런 일이 벌어지면 정당민주주의가 무너진다”며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당 대표 재임 시절을 언급하며 “통일교의 한(학자) 총재님 측에서 저를 보고 싶으니까 총재 사무실로 와달라 이렇게 연락이 온 적이 있었지만, 당연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해서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인이 그런 방식의 접촉은 적절치 않다”며 “정치를 하는 데 있어서 책임 있는 정치인이 지켜야 될 원칙이 있고, 손해 보더라도 원칙은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