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저소득층을 직격하면서 미국의 빈곤층이 내년까지 87만 5000명 더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관세에 따른 고용 침체 신호가 뚜렷해지면서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등 세계적인 투자은행(IB)의 최고경영자(CEO)들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8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소폭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10일(현지 시간)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으로 빈곤에 처하는 미국인의 수가 내년에 87만 5000명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을 제외하면 미국의 빈곤율은 10.4%이지만 관세를 고려하면 이 수치가 10.7%로 증가할 것으로 봤다. 특히 관세가 유지될 경우 평균 실효 관세율은 17.4%로 치솟아 1935년 이후 최고치가 된다. 존 리코 예일대 예산연구소 정책분석 부국장은 “관세는 미국 가정에 부과되는 세금”이라며 “관세는 소득이 아닌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세금이기 때문에 저축보다 지출 비율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큰 타격을 준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물가 압박은 여전한 양상이다. 미 노동부는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다고 11일(현지 시간) 밝혔다. 지난 7월(2.7%)보다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8월 CPI는 전월 대비로는 0.4%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전월 대비 0.3% 각각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발표된 수치는 대체로 전문가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블룸버그 집계 기준 CPI 전년 및 전월 대비 상승률은 각각 2.9%, 0.3% 상승 수준으로 예상됐다.
이번 물가 지표가 소폭 반등세를 보였지만 시장의 금리 인하 전망을 바꾸진 못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시장의 관심은 냉각되는 고용 시장에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7월 7만 3000명, 8월 2만 2000명에 그쳤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실제 증가한 비농업 일자리 수 역시 종전 통계(179만 명)보다 91만 1000명이나 줄었다. 23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한편 고용시장을 중심으로 침체의 그림자가 짙어지자 월가 CEO들도 앞다퉈 걱정을 내비쳤다. 솔로몬 CEO는 “모든 것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고 그것이 성장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고 다이먼 CEO 역시 고용 수치 하향 조정을 언급하며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