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대항마’로 불리는 앤스로픽이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중국계 기업에 AI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일(현지 시간) 회사의 한 임원을 인용해 엔스로픽은 중국의 군사 및 정보 기관이 자사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임원은 “중국 기업들이 최첨단 AI에 접근할 수 있는 허점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러시아, 이란, 북한 등 미국의 적대국에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이번 결정이 전 세계 매출에 수억 달러 대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관측한다. 회사 관계자는 “그럼에도 (이번 조치가) 변혁적 AI 역량이 민주주의적 가치와 미국의 AI 리더십에 부합해야 한다는 우리의 원칙과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이 초음속 무기부터 핵무기 시뮬레이션까지 군사 목적으로 AI를 활용한다는 미국 내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미국 AI 확보를 차단하기 위해 수출 통제를 시행했지만 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중 정상회담을 추진하면서 별도의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이번 정책이 싱가포르 내 중국계 기업들을 일부분 겨냥했다면서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같은 기업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2021년 오픈AI 출신들이 창업한 앤스로픽은 AI 모델 ‘클로드’를 내놓으며 오픈AI의 경쟁자로 급부상했다. 클로드는 챗GPT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AI로 꼽힌다. 앤스로픽은 최근 130억 달러(약 18조 1000억 원)를 조달해 기업가치를 1830억 달러(약 255조 원)로 불렸다.
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중국에 대한 수출 통제 강화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중국에서는 챗GPT, 클로드, 구글 제미나이 등 미국산 AI 이용이 금지돼 있다. 하지만 가상사설망(VPN)을 통해선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