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따른 고용 침체 징후로 금리인하 기대가 확산하며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일제히 강세로 마감했다.
4일(현재 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50.06포인트(0.77%) 상승한 4만 5621.29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3.82포인트(0.83%) 오른 6502.08, 나스닥종합지수는 209.97포인트(0.98%) 뛴 2만 1707.69에 거래를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들이 모주 상승한 가운데 알리바바 등 중국 기업의 자체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 소식에 연일 하락했던 엔비디아가 0.61% 오르면서 5거래일 만에 하락세를 탈출했다. 마이크로소프트(0.52%), 애플(0.55%), 아마존(4.29%), 메타(1.57%), 구글 모회사 알파벳(0.71%), 브로드컴(1.23%), 테슬라(1.33%), 넷플릭스(2.55%) 등도 강세를 보였다. 미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업체 세일스포스는 3분기 실적 전망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면서 4.85% 급락했다.
이날 뉴욕 증시가 일제히 뛰어오른 것은 미국 고용 악화를 시사하는 경기 지표들이 잇따르면서 이달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기대가 크게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8월 24~30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3만 7000건으로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 이날 발표된 고용 정보 업체 ADP의 민간 고용보고서에서도 8월 신규 취업자 수가 5만 4000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7만 5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월가에서는 5일 미국 노동부가 내놓을 8월 고용보고서가 이달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의 금리 결정에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가 25bp(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7.3%로 반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