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3일 한일정상회담을 앞두고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과 같은 새로운 한일 공동선언문 발표 가능성을 시사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국민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바란다고 했는데, 이번 정상회담에서 어느 정도 결과물을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한 것으로 한일 공동선언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 인터뷰에서 1998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총리가 발표한 ‘한일 공동선언’을 언급하며 “선언을 계승하고,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발표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앞으로 한일 관계를 실용적인 의미에서든, 국익 차원에서든 잘 개선해 나가겠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말씀”이라며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일본을 먼저 가는 것은, 이승만 대통령 이후 처음이다. 이런 역사적 의의가 합의문에 실릴 수 있기를 바라는 국민적 의지에 대한 대답이 아닐까 싶다”고도 전했다.
다만 “마지막 조율 과정이 남아 있기 때문에, 정상들 간 합의문이 나오게 될지, 어느 정도 수준으로 (내용이) 담길지는 아직 말씀드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강 대변인은 또 같은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를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를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를 향한 발걸음으로 나가겠다는 취지의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사과를 해야 한다 했는데 대통령이 생각하는 사과의 수준은 어느 정도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강 대변인은 “이시바 총리는 반성이란 표현을 쓰지 않았냐. 반성과 사과는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지만 국민적으로 충분하다고 여길 때 까지라는 전제가 달린 부분”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반성이나 사과라는 표현이 이례적이거나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다 끝났다고 하긴 어렵다는 국민적 정서를 전달했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