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두고 경찰청이 정부 합동 조사의 일환으로 내부 감사에 나선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당시 출동했던 현장 경찰관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범정부 이태원 참사 합동 조사의 일환으로 내부 감사에 착수했다. 감사 대상엔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들이 포함됐다.
경찰청은 감사 부서를 중심으로 조사팀을 꾸린 후 조사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개시 통보에 따라 징계·문책 절차와 시효가 정지되며, 의원면직과 포상 추천에 있어 제한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두고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과 용산구청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정부 합동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참사 3주기가 지나게 되면 책임자들에 대한 징계 시효가 끝나게 돼, 그전에 현장 책임자와 징계 대상자가 있는지 들여다 본다는 계획이다.
이번 감사를 두고 경찰 내부에서는 이태원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경찰관들에 대해 인사 불이익과 '2차 가해'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서울경찰 직장협의회 대표단은 내부망에 입장문을 통해 "참사 현장에서 최선을 다해 구호 활동을 했던 동료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행태에 대해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낀다"며 관련 조사 대상자를 선정한 기준을 명백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포상 추천 제한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지침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경찰청 관계자는 "조사 과정에서 명백히 책임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는 공직자들에겐 신속하게 조사 종료를 통보할 계획"이라며 "불필요한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