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무비자로 입국하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게 숙박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지원 중단을 촉구하는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
18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 누리집에는 지난 14일부터 이날 오후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숙박비 지원을 중단하라는 글이 수십건 올라왔다. 게시자들은 ‘국민 혈세로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5만 원을 지급해서는 안 된다’거나 ‘도민들이 피같이 낸 세금으로 뭐하자 것이냐’, '휴가도 못가는 노인빈곤층, 소년소녀가장 등에게 써달라'는 등 숙박비 지원 정책을 비판하며 중단을 요구했다.
문제는 지난 12일 도가 발표한 외국인 체류형 관광상품 정책에서 비롯됐다. 도는 하반기 중화권 관광객 유치를 위한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을 마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 관광상품은 중화권 주요 여행사들과 협력해 경남 내 2개 이상의 시군을 연계한 체류형 단체 관광상품으로 구성됐다.
시군 연계 체류형 관광상품은 거제, 통영, 진주 등 경남의 9개 시군이 포함돼 있고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지역별 특색 있는 축제를 아우르는 콘텐츠로 구성했다거나 중화권 대표 여행사들이 시군 연계 상품을 개발한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 1인당 숙박비 5만 원을 지원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도는 이러한 지원이 관광객 유치 효과를 극대화하고 경남 체류 활성화 이바지함은 물론 지역 숙박업계에도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지만, 일부 시민은 반발하고 나섰다.
경남도는 숙박비 지원은 중국인에게만 해당하는 사안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도는 2009년 지역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려는 취지로 내·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도내 숙박업소에 1박 이상 투숙하도록 알선한 관광사업자에게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경남도 관광진흥 조례’를 제정했다.
이 조례에 근거해 2010년부터 경남을 찾는 모든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유치하는 여행사에 숙박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이러한 혜택은 다른 시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지난 5월 기준 경남을 찾은 대만(758명), 미국(434명), 일본(91명), 싱가포르(29명) 단체 여행객에게 숙박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정책에 맞춰 선제 대응 차원에서 관광상품을 준비했다”며 “숙박비를 외국인 관광객에게 직접 주는 것이 아니라 지역 숙박업계에 제공하는 것인데 중화권에만 혜택이 집중된다는 오해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