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디지털 시대의 'MZ 픽' 작가들…예술·상업 경계 허물다

■ 옥승철 '프로토타입'

日애니 캐릭터 캔버스에 채워

복제 이미지 원본성 고민 담아

신작 타이레놀 등 80여점 전시

■ 페트라 콜린스 '팬걸'

애플·구찌 러브콜한 포토그래퍼

'소녀다움' 독창적 시각언어 제시

500여점 사진·영상 작품 총망라

옥승철, ‘타이레놀(Tylenol·2025), Acrylic on canvas, 80 x 160 cm. 사진 제공=롯데뮤지엄




MZ세대가 주목하는 아티스트들의 대규모 미술 전시가 잇따라 열린다. 국내 아트페어 등에서 ‘완판’ 신화를 쓰며 인기 작가로 자리매김한 옥승철과 아날로그 필름에 기반한 몽환적인 감성으로 젠지 소녀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는 페트라 콜린스를 만날 수 있는 자리다. 두 작가 모두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시작해 미술관으로 향하는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는 동시에 예술과 상업의 경계를 과감히 허무는 행보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세계의 문법에 누구보다 밝은 ‘디지털 네이티브’지만 캔버스와 물감, 35mm 필름이라는 아날로그 방식을 고집하고 있는 점도 두 작가의 공통점이다.

옥승철 ‘프로토타입’의 전시 전경. 사진 제공=롯데뮤지엄


◇옥승철: 프로토타입(PROTOTYPE)=일본 애니메이션 어디선가 본 듯한 캐릭터의 얼굴이 캔버스를 가득 채웠다. 대담한 구조 아래 쨍한 색감이 돋보이는 얼굴들은 무심한 듯 혹은 우울한 듯 오묘한 표정으로 화면 너머 관람객과 눈을 맞춘다.

1988년생 작가 옥승철이 창조한 이 이미지에 오늘날 미술 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른 MZ 컬렉터들은 열광한다. 반면 평범한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 같은 회화를 두고 전통적인 미술 애호가들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그의 작업이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지, 새로운 예술의 시작으로 기록될지에 대한 논쟁이 현재 진행형인 가운데 그의 작품 세계를 심도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전시 ‘프로토타입’이 서울 송파구 롯데뮤지엄에서 15일부터 열리고 있다. 1322㎡(400평)에 이르는 전시 공간이 작가의 초기부터 현재까지를 망라하는 회화와 조각 80여 점으로 채워졌다.

옥승철의 개인전 ‘프로토타입’은 디지털 시대의 ‘원본성’에 대해 고민하는 작가의 주제 의식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전시장을 가상 공간처럼 연출했다. 사진 제공=롯데뮤지엄


옥승철, ‘미믹(Mimic·2021)’, Acrylic on canvas, 140 X 170 cm. 사진 제공=롯데뮤지엄


옥승철은 디지털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실체 없이 복제되고 소비되는 이미지의 ‘원본성’에 대해 고민하는 작가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원본 디지털 이미지를 만든 뒤 물감과 캔버스라는 전통성 있는 매체로 현실에 출력하는 것이 그의 작업 방식이다. 원본이지만 무한 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와 붓 자국 하나 없이 매끈하게 물성화된 캔버스 회화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진짜로 봐야할지를 두고 혼란과 긴장을 감각하게 된다.

전시장은 이 같은 긴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가상 공간으로 연출했다. 영상 합성 기술의 배경이 되는 크로마키의 초록 불빛으로 가득한 십자 복도를 건너야 도달할 수 있는 세 개의 전시 섹션에는 고전 석고상을 연상시키는 무채색의 드로잉부터 평면 조각, 높이 2.8m에 이르는 대형 조각 신작 등이 설치돼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옥승철을 대중적으로 알린 ‘헬멧(Helmet)’ ‘미믹(Mimic)’ 등 주요 회화 작품을 비롯해 약물의 내성처럼 반복되는 이미지에 익숙해지는 감각을 은유한 회화 신작 ‘타이레놀’ 등도 만날 수 있다. 10월 26일까지.



페트라 콜린스 개인전 '페트라 콜린스: fangirl' 포스터. 사진 제공=대림미술관


◇페트라 콜린스: 팬걸(Fangirl)=서울 통의동 대림미술관은 ‘일상이 예술이 되는 미술관’이라는 비전 아래 사진·패션·디자인·가구 등으로 경계를 확장하는 미술 전시를 선보여온 공간이다. 디터 람스, 유르겐 텔러, 라이언 맥긴리, 칼 라거펠트, 헨리 빕스코브 등 시대와 분야를 대표하는 글로벌 크리에이터를 국내 최초로 소개한 미술관이라는 자부심도 있다.

대림미술관이 재단 설립 30주년을 맞아 선택한 아티스트는 캐나다 출신 1992년생 포토그래퍼 페트라 콜린스다. 콜린스는 35mm 아날로그 필름 카메라로 몽환적인 사진 분위기를 연출하며 청춘의 불안과 아름다움에 대한 독창적 시각 언어를 제시해온 작가다. 15살에 독학으로 사진을 시작한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SNS를 통해 공유했고 동시대 소녀들의 열광적 지지를 받으며 성장했다. 지금은 애플, 구찌, 클로에 등 글로벌 브랜드를 비롯해 블랙핑크, 빌리 아일리시, 찰리 XCX 등 글로벌 팝스타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동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패션 포토그래퍼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페트라 콜린스, Baron, Why be you when you can be me., 2019. 사진 제공=대림미술관


29일부터 열리는 전시 ‘페트라 콜린스: 팬걸’은 전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콜린스의 미술관 개인전이다. 2~4층 미술관 전 층을 활용해 콜린스의 초기 작업부터 최근 프로젝트까지 사진, 영상, 설치, 패션 등 500여 점의 주요 작품을 총망라한다. 작가가 사진을 시작한 10대 시절부터 오늘날 패션·필름·브랜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자리잡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며 그녀의 정체성과 시선, 확장되는 세계관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전망이다. 12월 31일까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