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휴가 중 가족과 함께 뱃놀이를 하기 위해 오하이오주의 저수지를 임의로 방류하도록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6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최근 밴스 부통령의 비밀경호국은 미 육군 공병대(USACE)에 오하이오주 시저크릭호수 저수지의 물을 방류해 리틀마이애미강 수위를 높여 달라고 요청했다.
이달 2일 41번째 생일을 맞은 밴스 부통령은 오하이오주 남서부에서 목격됐으며, 당시 리틀마이애미강에서 카누를 타는 모습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왔다.
시저크릭호수는 리틀마이애미강으로 흘러드는 지류로, 저수지를 방류하면 강 수위가 상승한다. 가디언이 인용한 한 소식통은 이번 요청이 “카누를 타기에 이상적인 조건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해당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미국지질조사국(USGS) 자료에서 밴스 부통령이 휴가를 보낸 8월 초 리틀마이애미강 수위가 급격히 오른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USACE가 가디언에 답한 내용에 따르면, 비밀경호국은 UASCE에 밴스 부통령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일시적으로 방류량을 늘려달라는 요청을 했다. 비밀경호국 측은 방문 기간 동안 모터보트와 긴급 구조대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USACE와 협력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운영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효율성을 이유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정부 예산을 삭감하는 가운데, 부통령이 공공 인프라를 개인적 여가에 사용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USACE가 방류량을 조정하는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지역 행사나 긴급 구조 훈련처럼 공적 목적일 때 이뤄진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법률고문실 수석 윤리 변호사였던 리처드 페인터는 예산 삭감으로 국립공원관리청(NPS) 인력이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밴스 부통령이 가족 휴가를 위해 이런 특혜를 누린 것은 위선적이라고 지적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공직자 윤리 변호사로 일한 놈 아이젠도 “오바마 대통령 시절에도 일반적이지 않은 요청이 많기는 했지만, 공직자가 카누를 타기 위해 방류량을 늘려달라는 요청은 한 번도 없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