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9월 운항을 앞둔 ‘한강버스’ 접근성 강화를 위해 시내·마을버스와 한강버스 선착장을 연계하고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 확충에 나선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이용이 다소 불편했던 마곡·망원·압구정·잠실 등 4개 한강버스 선착장과 이번에 신설 또는 조정한 시내·마을버스 총 8개 노선을 연결해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운행한다고 29일 밝혔다.
8개 노선 중 마곡·망원 선착장을 경유하는 3개 노선은 신설 노선이다. 망원·압구정·잠실 선착장을 지나는 5개 노선은 일부 조정된다.
이에 따라 망원 선착장과 상암월드컵파크를 잇는 8775번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각각 12회씩 운행되는 ‘맞춤버스’로 투입된다. 신설된 6611번은 개화역과 마곡선착장을 오갈 예정이다.
망원선착장의 경우 신설된 7716번이 서부운수 차고지와 선착장을 오간다. 노선이 조정된 마포 16번은 망원선착장을 경유하며 압구정(240·441번)과 잠실 선착장(3317·3323번)은 기존에 운행 중인 시내버스를 각각 2개 노선씩 조정해 연결한다.
이와 함께 마곡·망원·잠실·압구정·뚝섬 등 5개 선착장 도보 3분 이내 거리에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를 조성하며 여의도·옥수 선착장 따릉이 대여소는 부지 조성 및 안전시설 공사 후 추가 조성 예정이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취항에 맞춰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도 출시한다.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해 이용 가능하며 요금은 따릉이 포함 여부에 따라 30일권 기준 6만7000원과 7만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