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이 물류센터나 제조 공장에 투입돼 물건을 옮기고, 주변 장애물을 스스로 치우는 등 완전한 산업 자동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피지컬 AI(물리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인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확보가 필수적이다. LG CNS는 세계 최고 수준의 RFM 기술을 보유한 미국 ‘스킬드AI’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 미래 ‘RX(로봇 전환)’ 시대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이번 스킬드AI와의 협력을 주도한 이준호(사진)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상무)은 22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오는 8월부터 스킬드AI와 함께 국내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RFM의 개념검증(PoC)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산업현장 PoC를 위한 시나리오 작업에 착수했으며, 양 사 공동의 팀을 꾸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상무는 "LG CNS는 이미 시스템통합(SI) 역량과 로봇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RFM만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는 스킬드AI가 가장 적합한 파트너였다"고 부연했다.
LG CNS는 현재의 로봇 기술은 학습을 통해 사전 정의된 일만 수행하는 3세대 단계라고 정의한다. RFM이 적용돼 로봇 스스로가 생각하고, 상황을 판단하는 휴머노이드는 4세대에 해당한다. 이 상무는 "3세대의 경우 60% 수준의 자동화가 이뤄졌다면, 4세대에는 100%에 가까운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 CNS는 이번 스킬드AI와 함께 진행하는 RFM의 PoC에 약 6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작업에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RFM에 학습시켜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 상무는 "스킬드AI의 RFM에 실제 물류센터와 그룹사 제조 현장의 데이터를 적용해 최적화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후에는 실제 하드웨어 로봇과의 연계 테스트 등 실증적 검증 단계가 이어질 전망이다. LG CNS는 최종 휴머노이드 로봇의 실전 배치까지는 지급부터 약 2년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상무는 "높은 효율이 기대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우선 적용하고, 3세대와 4세대 로봇이 융합된 형태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LG CNS는 나아가 RFM, 휴머노이드, 산업 데이터, SI 역량까지 결합한 'RX 플랫폼' 구축에도 착수했다. 이 상무는 "기존 LG CNS가 강점을 보여온 물류센터, 제조현장의 RX는 물론 국방, 의료 등의 영역으로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플랫폼을 통해 산업 현장의 지능화와 자동화를 가속화해 국내 RX 시장에서 독보적인 사업자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